Web2 게임 산업에서는 퍼블리셔가 게임 운영과 수익 구조의 중심에 서 있다. 개발사가 게임을 개발하고 퍼블리셔가 이를 배급하고 유저들이 게임을 소비하는 과정에서 부가가치가 창출되지만, 이 부가가치의 상당 부분을 퍼블리셔가 독점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가 조금은 불공정하지 않은가?"
위의 질문에서 시작해 현재 Web3 게임 시장을 개발사 친화적이며 투명하게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프로젝트가 있다. 바로 KGeN이다. KGeN의 2025년 2월 17일 기준 30일 활성 유저 수는 4.72M으로, Web3 게임 애플리케이션 중 가장 높다.
본 글을 통해 KGeN이 구체적으로 어떤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고자 하는지 알아본 후, 이를 바탕으로 KGeN이 현재 Web3 게임 시장에서 주목 받고 있는 이유를 해석해보자.
✅ Web2 게임 산업에서의 부가가치는 퍼블리셔가 상당 부분을 독점한다
✅ KGeN, 투명하고 공정한 게임 시장을 만들기 위한 Web3 퍼블리셔 플랫폼
✅ KGeN이 성공하기 위해 남은 과제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