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코인베이스에서 런칭한 이더리움 레이어2 네트워크인 베이스의 성장이 심상치 않다. 2024년 한 해 동안 TVL은 약 9배 상승하여 $5B에 가까워졌다. 또한 최근 3달 간의 네트워크 순유입액이 전체 네트워크 중 가장 큰데, 이를 통해 현재까지도 성장세가 지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베이스 성장의 중심에는 클랭커와 버츄얼 프로토콜이 존재한다. 클랭커는 워프캐스트(파캐스터 기반의 소셜 앱) 위에서 복잡한 기술적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간단히 토큰을 생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AI 봇으로, 밈코인 + AI + 소셜 앱을 결합하여 유기적인 상호작용이 가능한 효율적인 환경을 구성했다. 버츄얼 프로토콜은 누구나 AI 에이전트를 생성하고 소유할 수 있는 AI 에이전트 생성 플랫폼으로, AI 에이전트의 높은 진입 장벽을 허물고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생태계를 조성했다.
본 글에서는 클랭커와 버츄얼 프로토콜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 본 후, 이를 바탕으로 베이스 생태계가 어떻게 성장했으며, 어디까지 성장할 수 있을지 전망해보고자 한다.
✅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는 베이스 네트워크와 생태계
✅ 클랭커, 밈코인+AI+소셜 앱을 통해 밈코인 열풍의 포문을 열다
✅ 버츄얼 프로토콜, AI 에이전트 생성 및 소유의 장벽을 허물고 대중화를 꿈꾸다
✅ 블록체인도 컨텐츠가 중요하다
✅ 1억 명의 유저 베이스와 인프라를 통해 만들어 낼 플라이 휠
👉쟁글에서 '베이스 성장의 중심에는 클랭커와 버츄얼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