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움을 주시는 분께 감사드립니다.
디버그 모드를 켜고 지갑을 실행하면 스택관련 에러 메시지를 확인할수 있습니다.
그런데 기존 지갑에서 디버그 모드를 켜면 엄청난 로그 때문에 사실 확인 어렵고,
스택이 발생할때 해당 에러 로그를 확인이 가능해서,
코인이 많으신 분들께 부탁을 드렸습니다.
천만코인이면 그리고 한시간이내에 확인이 가능합니다.
=====================================================================
현재 포킹된 원인과 그리고 PoS 가 멈춘 버그는 찾은 상태입니다.
사실 너무나 어이가 없는 논리적인 버그였습니다.
문제는 해당 부분을 수정한 버전을 곧 릴리즈할 계획입니다.
이전에 돌다리도 다시 한번 두들기기 위해서,
혹시 가능하시면 버그의 재확인을 위해서, 도움을 요청 드립니다.
먼저, 코인이 무지 많은 지갑을 갖고 계신분의 부탁을 드립니다.
메시지 주시면 컨택드리겠습니다.
=========================================================================
충고 감사 드립니다,
1. 현재 원인을 찾아서 잡기 위해서 노력중에 있습니다, 블럭 레코드를 보면, 매우 정상적인 상황에서 포킹이 발생을 했습니다. 어느 한 서버가 51% 어택을 해서 그 체인이 길어진게 아니고, 몇몇 그룹과 그룹이 나눠진 형태로 포킹이 발생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사실 이 부분이 문제가 되고 있는 부분입니다. 즉, 특정 오류나 조건이 재현이 어려운게 사실 이번 포킹에 대한 논리적인 대응이 어려운 부분입니다.
2. PoS 멈춘 이유를 추적하기 위해서 코드 분석이나 오류 부분은 확인이 끝난 상태입니다. 사실 특별한 문제점을 발견하지 못했구요, 따라서 데이터와 상황이 맞물린 형태로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3. 현재 스택의 발생/검증/확인 이렇게 3개의 단계를 하나씩 다시 검증 중에 있고, 발생/검증 부분은 확인이 되었고, 다른 네트워크에서 확인 부분을 검증중에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스택 부분의 검증은 그리 쉽지가 않습니다, 아무래도 스태킹이 발생하고 그리고 해당 내용을 추적하는 그 매번 단계가 시간이 많이 걸리다 보니, 추적 코드를 넣고 기다리고 확인하고 하는 게 일입니다.
시간을 들여서 수수깨끼를 푸는 과정입니다,
때론 무척 빨리 쉽게 찾아지기도 하고 어떨때는 상당한 시간을 소요하기도 합니다.
현재 1.2/1/3/1.4 이전 버전들을 동시에 테스트를 돌리고 있습니다,
미처 감지 하지 못한 에러를 추적중에 있고, 모둔 버전에서 문제가 동일한 것으로 보아서는 말씀대로 하드포크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