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치프리미엄 ]
2021.02.23 11:50 기준
업비트-바이낸스간 김치프리미엄 현황입니다
평균 김치프리미엄이 +0.5%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김프, 역프간 별다른 특이사항은 없어보입니다
[ 비트코인 선물거래 - 미결제약정 점유율 ]
비트코인 선물거래의 미결제약정과 점유율입니다
2021.02.23, 11:50 기준
1위 : 바이낸스
2위 : CME
3위 : OKex
4위 : 바이빗
5위 : 후오비
02월27일, CME 선물만기가 진행됩니다. 상당수의 미결제약정이 아직 남아있기에 매수세력의 차기실현에 의한 매도압박이 여전히 남아있어보입니다
[ 선물거래 Long VS Short Ratio ]
비트코인 각 선물거래소의 Long VS Short 비율입니다
2021.02.22, 17:00 기준
바이낸스 Long : 46.61% / Short : 53.39%
바이빗 Long : 39.72% / Short : 60.28%
단기적으로 Short 방향으로 크게 쏠리고 있습니다
[ 실질금리와 기대 인플레이션 ]
현재 모든 자산가치의 대폭등사태가 1년동안 지속중입니다
암호화폐도 마찬가지로, 상승장이 무려 1년동안 지속중입니다
그에 대한 배경에는, 오랜기간 달러의 무제한 공급과 부양책등으로 인해, 자산이 시중에 너무 풀린 탓으로 보여집니다
그러나, 이러한 상승세는 지속되기 어렵다는 것이 저의 견해입니다
미국의 무제한 달러공급과 각종 부양책은 소비문화를 촉진시킬 것이며 물가상승을 유도하게 됩니다
경기 개선속도는 나아지질 않고 있는데 물가 상승률이 높아지는 것이지요
그에 따라, 기대 인플레이션은 상승 될 것이고 그에 따라 실질금리도 상승하게 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결국, 미국의 실질 금리 상승은 시장의 모든 상승세를 멈추게 할 소재로 쓰이게 될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미 채권은 대표적인 '안전자산'으로 대표성을 나타내며,
주식 및 암호화폐는'위험자산'으로 그 움직임을 반대로 가지게 될 것입니다
실질금리가 상승하면 '위험자산'군은 하락할 가능성이 높아지겠고, '안전자산'군인 달러의 가치는 상승하게 될 것입니다
달러는 주식과 디커플링으로,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경기개선속도가 더뎌, 실질 인플레이션이 기대 인플레이션에 못미치는 상황이 지속된다면
실질금리는 지속적으로 상승할 가능성또한 높습니다
연준에서는 금리인상에 대해서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말하고 있으나,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해보입니다
[ 자산의 버블, 언제까지 ? ] - 진행예상도
[ 자산의 버블, 언제까지 ? ] - 진행결과
[ 비트코인 ]
비트코인은 고점대비 10000$가까이 하락이 진행되었습니다
해당 하락세는 제가 말씀드린 주요한 주요한 지지레벨 47,000 ~ 48,200$ 가격대에서 7000$가까이 반등세가 진행되었죠.
죽은고양이도 높은 옥상에서 떨어뜨리면 바짝 뛰어오르는 법이라 배웠습니다
이것은 '데드캣바운스'라 보여지며, 하락의 진폭은 더욱 거세질 것이라 판단합니다
그에 따라, 중요한 다음 지지레벨은 41,500 ~ 43,500$ 부근으로 보여지며 해당 40,000$가격대가 무너지는지, 혹은 지켜지는지에 대해서 우리는 지켜보게 될 것이고 그에 따른 발빠른 대응이 중요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