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어 전력은 쉽게 제어 되는데요.
윈도우 같이 전압이 바로 입력이 되는 것은 코어만 가능하고 메모리 전압은 메모리 클럭과 셋트로 입력되어야하고
롬바이오스에 전압과 클럭이 입력되어야 조절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메모리 전력 잡는 법을 몰랐는데 최근에 알게 되어서 공유합니다.
기본적으로 hive os 에서 롬플래싱을 하실줄 아는 상태여야 합니다.
혹시 롬플래싱 못하신다면 추천 많이 눌러주시면 hive os에서 롬플하는 방법도 정리해서 올리겠습니다.
1. AMD OC 를 클릭 합니다.,
2. 클릭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요.
코어는 전압이랑 클럭 넣으면 그냥 들어갑니다.
그런데 코어전압은 저전력셋팅하는데 미미한 영향이죠.
mem state 부분에 숫자를 조절하면 원하는 셋팅으로 셋팅이 가능합니다.
3, 폴라리스 에티터를 켭니다.
memory 부분에 맨윗칸이 mem state 의 0, 1, 2 에 각각 대응합니다.
보통 이 부분에 마지막은 mem state 2 번에는 1750 에 1000 이렇게 입력되어 있을 겁니다.
앞부분이 클럭이고 뒷부분이 전압입니다.
보통 RX580 은 2050 정도먹으면 30 조금 넘게 안정적으로 돌아갑니다. 전압은 850 정도면 적당하죠.
윈도우에서는 같은 셋팅으로 돌리면 700w 후반정도로 돌아갑니다.
이부분에 원하는 클럭이랑 전압을 넣고 롬플래싱을 다시하고 리부팅합니다.
4, 아까 AMD OC 부분에서 mem state 에 원하는 번호를 넣습니다. 보통 2번에 가장 높은 클럭과 저전압을 입력하게 되죠
즉 mem state 에 2를 넣습니다.
저는 aggresive undervolting 도 체크했습니다. 차이는 잘 모르겠습니다.
5, 잘 먹었는데 shell 에서 확인합니다.
amd-info 라고 명령어를 넣으면
요런 창이 뜹니다.
정보에 보면 memstate 에 2번 들어가 있는거 보이고 롬플했던 mem 클럭이 먹은거 보이시죠?
지금은 3way 로만 test 해 보았는데요. 6웨이 이상도 별달리 차이가 없을겁니다.
3웨이에서 벽전력 580w 나오던게 지금은 410w 나옵니다.
-------------------------------------
꼬리말
* 게시글 내용 삭제시 레벨 강등
* 질문은 각 주제별 게시판에.
비트코인 암호화화폐 커뮤니티 땡글~ 땡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