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 보면 간단하지만 세상 모든 일이 알기 전까지는 아주 어려운 것 같습니다.
파워에 대한 질문이 많이 있어서 컴퓨터 초보 분들을 위해 파워에 대해 정보를 교환하는 자리를 만들어 볼까 합니다.
앞으로 시간이 될 때마다 간단한 파워 상식부터 쓰레기가 될 운명의 터진 파워의 자가 수리까지 함께 공부를 해보아요.
초보를 위한 정보니 만큼 어려운 용어는 가능하면 피해가면서 적당히 알아듣기 쉽게 풀어보겠습니다.
소비전력 100W짜리 6Way를 구성하자.
파워는 어떻게 해야 할까?
100W 6장이니 100 x 6 = 600이네!
600W파워를 주문해보자.
이러면 반드시 문제가 생기게 됩니다.
W(Watts) 와트라는 단위는 무엇일까요?
와트(W)의 정의는 1초동안 1J(주울)의 일을 하는 단위라고 되어 있습니다.
주울 단위까지 알 필요는 없겠고 기본공식은 전압(V) x 전류(A)의 결과가 W와트가 되겠습니다.
결국 전압(V)에 관계 없이 소비전력을 표시하는 절대치가 되겠습니다.
예: 12V 600W = 220V 600W
A(Ampere) 라는 단위는 무엇일까요?
전기가 흐르는 속도라고 이해 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정수기 호스를 흐르는 물하고 세차호스를 흐르는 물하고 비교하면 이해가 될까요?
같은 속도로 물이 흐른다면 당연히 세차호스를 흐르는 물의 양이 많아집니다.
예: 12V 10A < 220V 10A
100W GPU 6Way를 구성하는데 왜 600W파워가 부족할까요?
실제 필요 전력이 600W라면 40% 전후의 여유가 있어야 효율이 좋아지고 실제 600W 표기가 되었어도 그 만큼의 용량이 안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실제 구매하려는 파워 사양을 잘 확인해야 합니다.
그리고 컴퓨터는 그래픽 외에도 메인보드, HDD, 팬등 전력을 소비하는 장치가 많습니다.
보통 CPU 풀 마이닝을 안 하는 채굴기의 경우 시스템팬까지 다 해서 100W정도 잡으면 됩니다.
대부분의 파워는 정격전력의 50~60%를 사용할때 가장 효율이 좋습니다.
여기서 효율이란 교류를 직류로 바꿀때의 변환 비율을 얘기합니다.
반도체와 컨덴서등 여러 부품을 통과 해야 하기 때문에 그 과정에서 전력 손실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채굴에는 많은 전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일반 PC의 경우에는 50% 정도 부하를 주는 방식으로 선택을 하겠지만 고출력 파워는 수치가 높을 수록 가격도 급격하게 비싸지므로 대부분 70~80%정도까지 사용하게 됩니다.
전력제한을 70%까지 한다고 가정하면 그래픽카드의 최대 전력량과 파워 정격을 맞추면 합리적이겠습니다.
600W라고 파는 파워 넌 정말 600W 맞는거니?
12V 28A라고 써 있군요.
12 X 28 = 336W입니다. 이 마저도 다 나오지는 않을 겁니다.
얘네들은 ( 3.3 x 22 ) + ( 5 x 30 ) + ( 12 x 28 ) + ( 12 x 1 ) + ( 5 x 2 ) = 580
이것을 600W급이라고 표시하는 것입니다.
정격 이라고는 못쓰고 "표시전력" 이렇게 씁니다.
보통 우리는 이런 파워를 "뻥파워" 라고 부릅니다.
이 파워는 어떨까요?
듀얼레일이군요.
( 12 x 20 ) + ( 12 x 20 ) = 480W입니다.
500W 파워라고 쓸 만 하군요. 이런 파워는 정격 500W 파워라고 씁니다.
하지만 제대로 된 표기법은 더 있습니다.
이 파워를 보겠습니다.
다른 파워들과 다르게 한 줄을 더 표기하였군요.
( 12 x 25 ) + ( 12 x 25 ) + ( 12 x 25 ) = 900W로 계산이 됩니다.
트리플레일 파워입니다.
하지만 492W라고 표기를 했네요.
이것은 각 300W까지 쓸 수 있지만 세개의 레일에 공급할 수 있는 총 전력량이 492W라는 것입니다.
꽤 믿음이 가는 파워 표기법입니다.
저런 형태로 표기한 숫자는 일반적으로 맞습니다.
전기전자 계통에서 표기 숫자는 상당히 민감합니다.
허위 표기할때는 인증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 할 수 있습니다.
어떤 파워가 좋은 파워일까요?
비싼 파워는 당연히 그 값어치를 합니다.
하지만 수십대의 채굴기를 만들기 위해 준비할 경우에 상당한 고민이 됩니다.
대당 3만원차이면 30대하면 백만원가까이 차이가 나는 거지요.
이럴 때 가성비 파워를 찾게 됩니다.
남들이 많이 쓰는 파워는 다 이유가 있으니까요.
특별한 기술력 차이가 존재하기에는 파워라는 건 너무도 단순한 제품입니다.
회로 자체는 특별할 것도 없고 그냥 손쉽게 카피가 가능합니다.
결국 좋은 성능은 좋은 부품을 쓸 때 나오게 되어 있습니다.
일반인이 파워 내부에 있는 부품을 좋은거 싼거 구분하기는 힘들겠지요.
비용이 부담스러울때 는 남들이 가성비가 좋다고 추천하는 파워 중에 골라보세요.
다음에 시간이 되면 조금씩 깊이 들어가보겠습니다.
-------------------------------------
꼬리말
* 게시글 내용 삭제시 레벨 강등
* 질문은 각 주제별 게시판에.
비트코인 암호화화폐 커뮤니티 땡글~ 땡글~
-------------------------------------
저는 그래서 파워선택시 가성비 보다는 효율대 가성...비... 아, 그것도 가성비네욬ㅋㅋㅋ
좋은 브랜드의 고급형제품에 비용투자를 아끼지 마세욧!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