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의 문서를 사용하려면 우분투에 약간의 지식이 있어야 가능합니다.
순서대로 따라하면 컴퓨터 시작시 오버클럭을 적용하여 이더리움 마이닝까지 자동으로 실행됩니다.
아래의 게시글은 순서대로 따라하면 큰 문제없이 우분투 자동마이닝이 가능하게 최소한으로 정리하였습니다.
아래 링크의 ethminer님의 게시글에 상세한 정보가 나오니 부족한 부분은 참고하여 주세요.
1. ethminer님 https://www.ddengle.com/board_FAQ/2395534
이더마이너가 아닌 클레모어용은 아래 링크에 있습니다.
https://www.ddengle.com/mining/7198851
예전에도 개인적으로 클레모어와 이더마이너의 채굴량을 비교해보니 안정적인 구동만 보장된다면 개발자 fee가 없는
이더마이너의 채산성이 좋았습니다. 우분투와 이더마이너 최신버전을 사용해보니 많이 안정화가 되어 소개합니다.
저도 우분투 초보라 모니터링도 제대로 못합니다. 클레모어는 팬속과 온도가 해시와 같이 나와 관리가 편한데 이더마이너는
온도와 팬속 모니터링을 못찾겠습니다. 그냥 터미널 하나 더 띄워서 nvidia-smi 로 가끔 확인합니다.
crazyits 님이 댓글 달아주셔서 팬속+온도 나오게 배치파일 마지막에 -HWMON 옵션 추가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우분투 이더마이너(V 0.150.dev7) 설치하고 자동실행하기
시작하기전 주의사항 (NVIDIA용이며 오버클럭은 주의하여 실행하셔야 합니다.)
아래의 빨간색 부분을 터미널창에서 한줄씩 복사->붙여넣기 하면 됩니다.
- 터미널창 열기 : CTRL+ALT + T
- 마우스로 복사 -> 붙여넣기 가능합니다. (트리플 클릭하면 한줄씩 블록이 잡힙니다.)
- 테스트 기종 : 1060 3G / 1060 6G / 1070 8G
1. 우분투 인스톨 / 외장 그래픽 설정
저는 우분투 16.04 데스크탑 버전,영문판으로 설치하였습니다.
설치는 검색을 통하여 배우시면 됩니다.
- 외장그래픽 설정
오버클럭을 하려면 내장그래픽으로는 안되고 외장그래픽을 사용해서 아래 과정을 진행합니다.
CMOS SETUP에서
Internal Graphics - Auto
Primary Display - PEG (관련 링크 https://blog.naver.com/nasaman95/50183239418 )
2. 그래픽드라이버 설치
sudo apt-get install build-essential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nvidia-384
3. 리부팅 필수
sudo reboot now
4. 이더마이너 0.15 다운로드 (세번째줄 URL이 검정색으로 보이는데 검정색 끝까지 복사해야 합니다.)
cd ~/Downloads
sudo apt install curl
curl -L -o ethminer.tar.gz https://github.com/ethereum-mining/ethminer/releases/download/v0.15.0.dev7/ethminer-0.15.0.dev7-Linux.tar.gz
sudo mkdir /usr/local/ethminer
sudo tar -xvf ethminer.tar.gz -C /usr/local/ethminer
6. 실행 권한 변경
cd /usr/local/ethminer/bin
sudo chown root:root ethminer
sudo chmod 755 ethminer
sudo chmod u+s ethminer
7.배치파일 수정
sudo nano mine.sh
나노에디터에서 아래 전부 복사-붙여넣기하고 자신의 주소 변경 필수입니다.
#!/bin/sh
./ethminer --cuda-parallel-hash 4 -U -S asia.ethash-hub.miningpoolhub.com:20535 -FS exit -O 마플허아이디.워커:x -HWMON
#
8. 권한수정하고 이더마이너 실행하기
sudo chmod +x mine.sh
./mine.sh
여기까지 완료하면 오버클럭과 팬속도 조절이 안된 상태로 이더마이너가 구동이 됩니다.
이더마이너 구동을 확인하고 CTRL +C 로 종료후 진행
9. 오버클럭 가능하게 coolbits=28 적용하기
sudo nvidia-xconfig -a --cool-bits=28 --allow-empty-initial-configuration
sudo nano /etc/X11/xorg.conf (coolbits=28이 제대로 반영이 되었나 확인합니다.)
ctrl + x 편집기 종료
10. Lightdm 재시작하여 오버클럭 추가 메뉴 활성화
재시작하면 화면이 검게 변했다 기다리면 다시 우분투 화면으로 돌아옵니다.
sudo service lightdm restart
11. nvidia-settings 로 들어가보면 GPU마다 팬설정 , 코어클럭 ,메모리클럭을 조절하는 메뉴가 추가되어 있습니다.
추가 메뉴가 활성화가 안되면 오버클럭이 적용이 안됩니다.
nvidia-settings
12. 정상적인 오버클럭이 가능함을 확인하고 우분투 시작시 "파워제한과 오버클럭,팬속도 조절이 자동으로 반영되게 배치파일을 만듭니다.
====> 파워제한 배치파일로 만들기
cd /
cd etc/X11/xinit/xinitrc.d
sudo nano nv-power.sh
편집기에 아래줄 복사(파워 제한 75로 설정한 예제)
#!/bin/sh
nvidia-smi -pm 1
nvidia-smi -pl 75
ctrl+x 하고 y로 저장하고 엔터키로 종료
권한 수정하기
sudo chmod +x nv-power.sh
실행하기
sudo ./nv-power.sh
파워제한이 제대로 되어있나 확인하기
nvidia-smi
===> 오버클럭 ,팬속도 조절 배치파일로 만들기
sudo nano nv-config.sh
편집기에 아래줄 복사 (코어 0 , 메모리 800 :우분투에선 윈도우 2배수치입니다. 팬스피드 65로 6개의 GPU를 동일하게 사용하는 예제)
for x in 0 1 2 3 4 5; do
nvidia-settings -a [gpu:$x]/GPUGraphicsClockOffset[3]=0
nvidia-settings -a [gpu:$x]/GPUMemoryTransferRateOffset[3]=800
nvidia-settings -a [gpu:$x]/GpuPowerMizerMode=1
nvidia-settings -a [gpu:$x]/GPUFanControlState=1
nvidia-settings -a [fan:$x]/GPUTargetFanSpeed=65
done
ctrl+x 하고 y로 저장하고 엔터키로 종료
권한 수정하기
sudo chmod +x nv-config.sh
실행하기
sudo ./nv-config.sh
13. 우분투 실행시 자동으로 오버클럭,팬속도,파워제한 실행하기
cd /
cd /etc/lightdm/lightdm.conf.d
sudo nano nv.conf
아래 내용을 편집기에 복사
[SeatDefaults]
display-setup-script=/etc/X11/xinit/xinitrc.d/nv-config.sh
display-setup-script=/etc/X11/xinit/xinitrc.d/nv-power.sh
ctrl+x 하고 y로 저장하고 엔터키로 종료
권한 수정하기
sudo chmod +x nv.conf
14. 컴퓨터 시작시 백그라운드로 클레모어 자동 마이닝하기
(screen을 이용해 백그라운드로 실행되며 터미널 접속 , ssh접속을 통해 확인이 가능합니다.)
아래 글은 출처: ethminer님 https://www.ddengle.com/board_FAQ/2395534 의 글을 활용해 간단하게
자동 시작하는 방법을 정리한 글입니다. 세부적인 사항은 ethminer님의 글을 확인하시면 됩니다.
cd /
cd /usr/local/ethminer/bin
sudo nano ethminer-local.sh
편집기에 아래 내용 복사
#!/bin/sh
# ethminer-local.sh
./ethminer --cuda-parallel-hash 4 -U -S asia.ethash-hub.miningpoolhub.com:20535 -FS exit -O 마플허아이디.워커:x -HWMON
#
ctrl +x 하고 y누르고 엔터키로 종료
실행 권한 수정
sudo chmod +x ethminer-local.sh
디렉토리 이동
cd /
cd /etc/init.d
ethminer.sh 작성
sudo nano ethminer.sh
편집기에 아래 내용 복사 (아래 필히 수정 ==> UserID@PC명이므로 앞에 유저ID사용)
#!/bin/sh
### BEGIN INIT INFO
# Provides: ethminer.sh
# Required-Start: $all
# Required-Stop:
# Sould-Start: lightdm
# Default-Start: 2 3 4 5
# Default-Stop: 0 1 6
# Short-Description: Run Ethminer
### END INIT INFO
# userID 대신에 자신의 우분투 사용자 ID로 바꿔줍니다.
USERNAME=userID
ETHMINER=/usr/local/ethminer/bin # 경로명.
start-stop-daemon --start --oknodo --user $USERNAME --name ethminer \
--make-pidfile --pidfile /run/ethminer.pid --chdir $ETHMINER \
--chuid $USERNAME \
--exec /usr/bin/screen -- -dmS ethminer ./ethminer-local.sh
# --exec /usr/bin/tmux -- new-session -d -s ethminer ./ethminer$
# END OF FILE
ctrl +x 하고 y누르고 엔터키로 종료
(중요) 모든 과정을 진행하고 재시작하였는데 screen에 이더마이너가 실행이 안되고 있다면
위의 내용을 편집기에 복사하는 과정에서 불필요한 "초록색"공란과 아래 윗줄 사이가 한 칸씩 떨어져서 실행이 안되는 경우입니다.
cd /
cd /etc/init.d
sudo nano ethminer.sh
다시 편집기로 들어가 불필요한 공란을 지워주고 아래 윗줄 사이가 떨어진걸 없애준다음 재부팅하면 자동 실행됩니다.
실행 권한 변경하고 업데이트하기
sudo chmod 755 /etc/init.d/ethminer.sh
sudo update-rc.d ethminer.sh defaults
15. screen을 활용한 백그라운드 실행이라 screen 설치, 원격제어용 ssh설치
sudo apt-get install screen
sudo apt-get install ssh
16. 리부팅하고 이더마이너가 실행되나 확인하기
sudo reboot
재부팅후 스크린 명령어를 사용해 이더마이너 실행 확인하기
ssh를 통해 윈도우로 접속해 확인도 가능합니다. 내부랜인 경우는 유동ip주소로 putty접속이 되고
외부에서 확인하려면 공유기의 고정ip할당 작업등이 별도로 필요합니다. ssh접속과 공유기에 관련된 사항은
인터넷을 통해 별도로 공부해야 합니다. 여기서는 직접 연결된 모니터로 구동이 잘 되는지 확인합니다.
구동을 확인하고 모니터선을 제거해도 관계없습니다.
17. 백그라운드로 실행중인 screen 화면으로 진입하기
Ctrl+Alt+T 키로 터미널 진입
screen -x ethminer
위 명령어를 입력하여 스크린으로 진입하면 이더마이너가 작동되고 있으면 정상입니다.
** 주의 여기서 터미널창을 마우스로 X를 클릭하여 닫거나 CTRL+C로 종료하면 마이닝이 중단됩니다.
꼭 아래 18번 방식으로 빠져나가야 백그라운드로 마이닝이 됩니다.
18. 스크린 빠져나오기(조합키: Ctrl를 누른 상태로 A키 D키를 차례대로 누릅니다.)
Ctrl+A+D
===================== 참고 자료 모음 ======================
[수동으로 이더마이너 실행하기]
cd /
cd /usr/local/ethminer/bin
./mine.sh
[파워제한 변경하기]
cd /
cd etc/X11/xinit/xinitrc.d
sudo nano nv-power.sh
[오버클럭 변경하기]
cd /
cd etc/X11/xinit/xinitrc.d
sudo nano nv-config.sh
[1060 오버클럭 사례]
윈도10 ==> 파워:65 코어:0 메모리 800 = 이더 24Mh (애프터버너 / 삼성메모리)
우분투 ==> 파워 : 75 코어:0 메모리:1400 = 이더 23.8Mh
(우분투 메모리 오버값은 윈도우의 2배로 계산합니다. 메모리 1,400 넘어가면 오류 생겨서 1,400으로 타협했습니다.)
(다른분들의 링크글을 보시면 우분투와 애프터버너의 파워 설정 계산도 다르다고 합니다.)
[1070 오버클럭 사례]
1070은 우분투에서 파워제한 :105정도주니 윈도우10과 비슷하게 해시가 나옵니다.
[1080Ti]
우분투 18.04 최신버전에서 오류없이 인스톨 가능합니다. 이하 버전에선 우분투 인스톨시 에러가 발생합니다.
[1080, 1080ti 해시값 상승시키기]
깃헙 : https://github.com/OhGodACompany/OhGodAnETHlargementPill/issues/24
X -윈도우에서 링크 클릭해서 다운로드 받아 마우스 오른클릭해서 install 하면 바로 적용되고 재시작해도 적용됩니다.
GPU가 섞여있으면 다른 기종은 해시가 하락합니다.
[ 과도한 오버 클럭으로 시스템이 버벅이면]
오버클럭이 과하면 오류가 생겨 마우스도 잘 안움직입니다.
기다리다 클레모어 실행창에서 CTRL + C를 눌러 마이닝을 멈추고 오버 수치를 조절하면 됩니다.
[전력제한을 GPU종류별로 개별 제어할때 ]
#!/bin/sh
nvidia-smi -pm 1
nvidia-smi -i 0 -pl 75 # 1060 전력제한
nvidia-smi -i 1 -pl 75
nvidia-smi -i 2 -pl 75
nvidia-smi -i 3 -pl 100 # 1070 전력제한
nvidia-smi -i 4 -pl 100
nvidia-smi -i 5 -pl 160 # 1080ti 전력제한
[GPU X 6개 개별로 제어할때]
#!/bin/sh
nvidia-settings -a [gpu:0]/GPUGraphicsClockOffset[3]=100 # 코어 클럭 100
nvidia-settings -a [gpu:0]/GPUMemoryTransferRateOffset[3]=800 # 메모리 800
nvidia-settings -a [gpu:0]/GpuPowerMizerMode=1 # 퍼포먼스 레벨을 최고로
nvidia-settings -a [gpu:0]/GPUFanControlState=1 # 수동 팬 콘트롤=1, AUTO=0
nvidia-settings -a [fan:0]/GPUTargetFanSpeed=65 # 65% 팬속도
nvidia-settings -a [gpu:1]/GPUGraphicsClockOffset[3]=100
nvidia-settings -a [gpu:1]/GPUMemoryTransferRateOffset[3]=800
nvidia-settings -a [gpu:1]/GpuPowerMizerMode=1
nvidia-settings -a [gpu:1]/GPUFanControlState=1
nvidia-settings -a [fan:1]/GPUTargetFanSpeed=65
nvidia-settings -a [gpu:2]/GPUGraphicsClockOffset[3]=100
nvidia-settings -a [gpu:2]/GPUMemoryTransferRateOffset[3]=800
nvidia-settings -a [gpu:2]/GpuPowerMizerMode=1
nvidia-settings -a [gpu:2]/GPUFanControlState=1
nvidia-settings -a [fan:2]/GPUTargetFanSpeed=65
nvidia-settings -a [gpu:3]/GPUGraphicsClockOffset[3]=100
nvidia-settings -a [gpu:3]/GPUMemoryTransferRateOffset[3]=800
nvidia-settings -a [gpu:3]/GpuPowerMizerMode=1
nvidia-settings -a [gpu:3]/GPUFanControlState=1
nvidia-settings -a [fan:3]/GPUTargetFanSpeed=65
nvidia-settings -a [gpu:4]/GPUGraphicsClockOffset[3]=100
nvidia-settings -a [gpu:4]/GPUMemoryTransferRateOffset[3]=800
nvidia-settings -a [gpu:4]/GpuPowerMizerMode=1
nvidia-settings -a [gpu:4]/GPUFanControlState=1
nvidia-settings -a [fan:4]/GPUTargetFanSpeed=65
nvidia-settings -a [gpu:5]/GPUGraphicsClockOffset[3]=100
nvidia-settings -a [gpu:5]/GPUMemoryTransferRateOffset[3]=800
nvidia-settings -a [gpu:5]/GpuPowerMizerMode=1
nvidia-settings -a [gpu:5]/GPUFanControlState=1
nvidia-settings -a [fan:5]/GPUTargetFanSpeed=65
[땡글 작은시작님 글]
ethminer.exe --cuda-parallel-hash 4 와 같은데, cuda-parallel-hash의 적절한 값은 1060은 4이며,
다른 카드는 1-8 중 가장 좋은 성능이 나오는 숫자를 선택하면 됩니다.
-------------------------------------
꼬리말
* 게시글 내용 삭제시 레벨 강등
* 질문은 각 주제별 게시판에.
비트코인 암호화화폐 커뮤니티 땡글~ 땡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