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요새 채굴하시는 분이 늘지만
최소한의 화재안전에 투자 하시는게 어떤가 해서 이런글을 남깁니다.
화재가 나면 돌이킬수 없습니다.
설령 불을 끈다해도 불말 소화기나 물이 닿으면 채굴기는..... 끝장나죠
게다가 인명피해에 손해배상까지 하려면 후.. 조심 또 조심해야합니다.
1. 화재 감지기
종류: 정온식, 광전식, 불꽃감지기, 공기흡입식 연기감지기, 영상분석(CCTV), IOT 알람
정온식: 온도센서 (일정 온도 이상이면 알람), 바이메탈 (열에의해 휘는 금속을 이용해 열받으면 떨어져서 알람울림), 감지선( 열에 약한 전구 필라멘트 같은게 녹으면 알람)
문제점: 채굴장에서 여름일때 높은 온도 유속이 천장 부분에 형성되어 오작동 확률이 높음.
가격
단독형 (배터리만 넣으면 작동하는것) : 약 2~5만원
비단독형 (수신기까지 연결해줘야하는것) : 개당 몇천원~몇만원선, 수신기 가격이 비쌈
광전식: 레이져 (레이져가 수초~ 간격으로 깜빡이며 중간에 연기가 끼면 레이져 신호를 방해하여 알람), 다이오드(같은원리)
문제점: 채굴장은 흡배기 시설떄문에 연기가 광전식 감지기 내부로 들어가기 전에 빠져 나가서 작동이 안할 수 있음
가격
단독형 : 5만원선
비단독형 : ~만원
불꽃감지기 : 불꽃에서만 나는 적외선, 자외선을 감지하여 알람, 카메라 처럼 특정 시야만 볼수있음
문제점: 매우 높은 가격
가격: 약 20만원( 담배감지기 같은것) ~ 200만원 (실화재용)
영상분석 (CCTV) : CCTV 영상을 분석하는 프로그램을 통해 연기색갈의 움직임, 붉은색의 빠른 출렁임, 색갈을 판독하여 화재 알람, 기존 CCTV 시스템 활용가능
문제점: CCTV 시스템 가격이 비쌈, 초기화재의 하얀연기 감지에 오류가 많음
가격: 프로그램: 50만원~천자만별
공기 흡입식 연기감지기: 조기 연기감지기 라고 주로 불립니다, 환풍량이 많은곳, 냉동창고 등 채굴장과 많은 부분이 유사한 환경에서 사용되는 연기 감지기 입니다. 사실 가장 추천드리는 연기감지기입니다. 작동원리는 파이프를 통해 공기를 빨아들이고 레이져 디텍터에서 연기에 의해 레이져가 분광되는 효과를 통해 연기를 감지합니다. 매우정확하고 오작동도 낮습니다.
문제점: 너무 비싼가격
가격: 국내: 몇백만원 국외(ebay) : 100만 정도
IOT 알람기: 기존 알람기에 핸드폰으로 전송기능을 넣은 알람기입니다. 국내 제품은 거의 없고 Ebay 같은데 찾아보면 smoke detector iot 로 검색하면 3만원대부터~ 많이 나옵니다. 테스트해보니 생각보다는 잘감지합니다.
대책: 현실적으로 단독형에 iot 기능이 있는 연기감지기(광전식)이 좋을듯 합니다. 너무 천장에 달지말고 채굴기 위쪽에 장착하는게 좋습니다. 또 가격은 특정 제품을 지목하긴 좀그런데 단독형 리튬이온 전지를 쓰고 국산이 월등히 좋습니다 (올라이트라이x, 파라x, 등등)
iot 기능이 있는 제품중 전원을 따로 연결하는 제품은 합선됫을때 무용지물이 될수도 있으나 꼭 배터리가 있는지 확인해야합니다.
만약 환기 풍속이 빠르다면 배기구 근처에 하나식 설치하는것도 방법입니다.
2. 소화기
CO2 소화기 : 채굴기를 살릴수있는 유일한 방법입니다.. 이미 타버린 애는 어쩔수없지만 주변 아이라도 살릴라면 이걸써야 겠지요
하지만 써보시면 아시겠지만 정말 안꺼집니다...
큰걸로 2~3개씩 준비해두세요
그리고 소화시 질식에 조심하셔야합니다.
분말소화기: 다들아시는 소화기 입니다. 소화력은 현재 개발된 모든 소화기 중에 가장 우수합니다. 또한 비교적 인체에 안전하고요
하지만.. 채굴기의 운명은...
약재 소화기: 새롭게 개발된 다양한 소화약재를 사용하여 불을 끄는 형태로 액체형이 분사되는게 주를 이룹니다. 청정소화약재, 첨단소화약재 등으로 불리는데 비교적 고가에 소화력도 우수한편입니다 몇만원정도 좀더 비쌉니다. 하지만 그정도 값어치는 충분히 합니다.
3. 자동 소화기
특정 온도가 되면 소화기가 자동 작동합니다.
분말 자동소화기 : 주방장에 설치하는 용도로개발된 제품이 많습니다 3~몇만원 정도로 가성비가 좋습니다. 하지만 작동하려면 온도가 꽤나 높게 올라가야 하는데 이게 터질정도면 채굴기 십여대는 타야 터지는 열량을 받을겁니다.
캐비넷형 co2 소화기 : 외부에 조그만한 캐비넷에 co2 통을 두고 실내에 파이프를 연결한후 유리벌브 노즐에서 유리(68도)가 터지면 그곳을 통해 co2 가 분사되는 형태입니다. 콘센트가 만약 바닥에 집중되어있다면 그곳에 유리벌브 노즐을두고 초기화재 잡는 용도로 응용하면 좋을수 있습니다만 조금 고가입니다.
4. 소화시설
특정 온도나 연기 감지기에서 신호를 받으면 소화기 기설이 작동하는 방법입니다. 주로 큰 건물에서 사용합니다
규모가 되는 채굴장은 몇백정도 들여서 해놓으면 최악의 사태는 막을수 있을겁니다.
케비넷형 CO2 소화 시설 : 천장에 파이프를 설치하고 거기에 68도가 되면 유리(빨강색 분말알약같은것)가 꺠지면서 케비넷의 CO2 통에서 다량의 CO2가 분사되는 방법입니다.
문제점: 환풍이 되고있으면 소화효과가 거의 없습니다.
미분부 시설 : 극 미세한 물방이 뿜어져셔 공중에서 기화되며 산소를 차단하여 소화를 하는 방식입니다. 일부 반도체공장에서 채용하고 있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미분무 노즐과 고압펌프 가격이 너무 고가라 왠만한 대형 채굴장 아니면 채택이 힘들겁니다.
케비넷형 + 약재 : Co2 소화기에 특수한 약재를 섞어서 내뿜는 형식입니다. 비교적 최근에 나온 제품이고 성능은 좋은편입니다 하지만 판매하는 곳이 적어서 구하기가 어렵습니다
4. 콘센트
1060 6way 1세트 기준 약 1000W 로 계산해서 멀티탭을 구입하세요 그게 안전합니다.
멀티탭 종류
과전류 방지 : 콘센트의 최대 사용 전류량 보다 이상되면 내부 회로가 녹으면서 전원을 차단해버립니다.
누전차단: 누전이 발생하면 콘센트 내부에서 누전 차단이됩니다.
보통 멀티탭 2구~3구짜리 하나에 1060 하나씩 물리고 건물벽에서 나오는 첫번째 콘센트엔 누전 차단 콘센트를 해주세요
그게 안전합니다.
건물벽에 있는 2구 콘센트가 최대 용량이 보통 3000 w 이하입니다.
즉 건물벽 콘센트 하나당 1060 2세트 +모니터 정도만 사용하세요
오래된 건물 특히 2000년 이전에 지어진 건물이면 꼮! 누전 차단 머티탭을 사용하세요
잘못하면 다태워먹습니다.
결론:
화재 예방을 위해 누전 차단 멀티탭은 돈좀 들여서라도 구비하는게 좋습니다. 요새는 콘센트형 긴급 소화기라고 콘센트가 불나면 바로 꺼버리는 콘센트도 나오더군요
그리고
IOT 감지기를 설치해두고 CO2 랑 청정약재 소화기 2~3개 정도 구비해 두고
중소형 채굴장은 최후의 보루로 자동 소화기(분말)를 천장에 하나씩
조금 시설 투자할 큰분들은 캐비넷형 소화약재 소화시설을 하면 될겁니다.
그럼 최소한 채굴장 전소라는 최악의 사태는 막을수 있을겁니다.
-------------------------------------
꼬리말
* 게시글 내용 삭제시 레벨 강등
* 질문은 각 주제별 게시판에.
비트코인 암호화화폐 커뮤니티 땡글~ 땡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