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게시글에 리플달다 전문 지식은 아니고 아는분들이 90% 이상인 자료이지만
그래도 10% 모르는분들이 있으실까봐 공유 드립니다.
카오린님 글대로 산업전기, 상업전기는 20kw 이상일 경우 옛날 계량기(아날로그방식)이 아니시라면
한달 피크치 20kw만 안넘으면 됩니다.
최대 전력 사용량은 20kw * 24시간 * 대략 30일 = 14,400kw 가 되겠네요 14400kw 가 넘으면 한순간이라도 최대 피크 20kw가 넘었다는 말이 되겠죠.
제가 공유하고 싶은 내용은 순간최대피크치 보는 방법입니다.
밖에 나가셔서 계량기 보시면 대부분 [G - TYPE] 계량기가 달려있을겁니다. 상단에 모델명 보시면
아마 [표준형] 달려 있으신분들도 간혹 계실거구요.
계량기 안에 LCD를 보시면 항목이 계속 바뀌실텐데요. 앞에 숫자가 하기 표의 표시항목입니다.
상기 그림중에 가장 중요한 것이.
13번. 채굴기들 + 환풍시설 + 전등 + 관제컴퓨터 등 실제 현재 켜놓은 기기들이 쓰고있는
이번달 최고 순간 전력량입니다. 저것만 안넘으면 되는겁니다.
* 최대전력 - (기타 전기먹는 기기들 보시면 사용전력 표시되어있습니다)
= 잔여전력 / 채굴기 대당 소비전력 = 채굴기 가동할수 있는 대수 대략 계산하시면 됩니다.
16번. 현재 앞뒤로 15분 실 전력량 입니다. 이거 보시고 채굴기 늘리던 주리던 하시면 됩니다.
4+5번. 전월 고지서가 나오셨다면 4번과 5번 항목 더한것이 사용량 이랑 같을 겁니다.
시간대별 전기요금에 항목 별 사용량 곱한다음 나온금액을 더해서 전력량 요금이 나오고
여기에 + 기본료 입니다.
사용요금에 역률요금을 빼는데 미미해서 제외했습니다.
7번. 전월에 최고점을 찍었던 피크치 최대전력입니다.
전월과 이달의 차이를 계산하셔서, 채굴장에서 기기추가 또는 냉난방기 가동등 변화를 보시면 될것 같네요.
@@@ 또한 중요한 것이 @@@
* 고지서나 글에보면 [전월] [당월]이라 표시가 되는데 실제 전달을 말하는것이 아닙니다.
상기 3번을 보시면 검침일이 있을겁니다. 대부분 10일~12일 일겁니다.
검침일 기준 전일 까지가 전월입니다.
저의경우 11일이 검침일인데 그래서 저는 전기요금이 7/11~8/10일 까지사용 요금입니다.
이것을 말일까지 납부하는 것 입니다.
* 최대전력이 20KW일 경우 13번을 확인하셔서 현재 10KW 최대전력을 사용하신다면.
가용 최대전력이 10KW 남으셨을텐데요.
몇대 설치 더할수 있는지 계산하실때 모네로 등 전력을 적게 먹는 코인으로 계산하시면 나중에
이더나 제트캐쉬 캐실때 최대 전력 넘으실수 있으시니 꼭 이더나 제트 기준으로 계산하셔서 채굴기
추가하시는게 안전하실겁니다.
저의경우 그래서 1060-6G 6WAY 기준 이더로 0.8KW 기준으로 기기를 추가하고 있습니다.
별로 도움이 안되는 자료인데 여기까지 읽으셨다면 감사합니다.
그리고 표준전력량계나 기타 쓰시는분들은 한전 싸이트 가시면 잘 항목표가 나와있을겁니다.
없으면 네이버 활용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