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G 채굴한지 거의 4주차 되었네요
채굴방법
https://www.ddengle.com/mining/20026681
현재 코인가격
운영대수 : 30대
7980X 1대, 3960X 2대, 7950X 15대, 7950X3D 12대
스테이킹 현황
스텔라 15대 , 타이탄 15대
총 3,725 코인 스테이킹
기기별 채산성 분석
CPU는 라이젠 7천시리즈 이상을 해야 하면 코어수는 다다익선입니다.
다른 코인에 비해 7950X 과 9950X 의 매우 격차가 큽니다. 거의 1.8배임
이번주 패치로 코어수에 대한 이득이 엄청 커져서 7980X 는 7950X 대비 4배는 넘기는 것 같습니다.(예전에는 2배정도)
<기기별 채산성 평균>
노바,스텔라,타인탄 합산해서 평균 : 7950X 2.2코인, 9950X 4.1 코인
node18 이 7980X, node17 이 7950X 임
: 마이너 패치를 못해서 1일 공치는 것을 감안하면 4.5일 결산이고 7950X는 약 2.2 코인, 7980X는 11.7 코인쯤 됩니다.
일단 메모리는 32GB 이상입니다. 50주차(현재 52주차) 부터 32GB 필요 합니다.
9950X 와 7950X 를 비교해 볼때 성능상의 차이는 10% 미만인데 채산성은 거의 2배입니다.
그리고 최대 클럭은 약간 떨어지지만 쿼드채널인 7980X가 듀얼채널인 7950X 대비해서도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위의 채산성 비교에서도 클럭이 반토막인 에픽이 7950X 대비해서 채산성이 높다는 것은 옥타채널의 메모리 전송속도가 영향을 준 것 같습니다.
참고로 이 분석은 단순히 저의 분석일뿐입니다. ㅎㅎ
리워드 정산 주기
채굴에 대한 정산은 2주후라고 보면 됩니다.
TIG 풀이 문제가 아니라 TIG 네트워크 자체에서 정산이 2주후에 발생됩니다.
지난주 것인데 저 것이 다 채워지는데 5일정도 걸리고 그 이후에 지불됨
<TIG 네트워크에서 51주 리워드 정산중인 화면>
채산성
<지난주 채굴량 : 51주>
7950X 30대 운영하면 1달에 약 1800~2000개 사이의 코인이 채굴됩니다.
9950X를 30대 운영하면 1달에 약 3200~3600개 사이의 코인이 채굴이 예상됩니다.
대당 일 채산성 USDT으로 본다면(2월8일자오전 10시 기준)
7950X, 7950X3D : 2.2 * 0.724 = 1.6 USDT/일
9950X : 4.1 * 0.724 = 2.97 USDT/일
7980X : 11 * 0.724 = 7.96 USDT/일
TIG 코인
<코인가격>
https://www.coingecko.com/en/coins/the-innovation-game
주마다 컴퓨터 알고리즘 난제를 풀어나가는 방식입니다.
총 4개의 분류에서 각각 5~10개의 알고리즘을 푸는데요.
풀을 사용하면 풀 운영자가 내부적으로 알아서 하기에 신경쓸 필요는 없습니다.
다만, 200대 이상 운영자는 솔로도채굴도 생각해볼만 합니다.
분석
일정 수준의 PC가 있다면 factorn 솔로채굴이 정답니다.
약 70대의 7950X 를 운영한다면 한달 평균으로 계산해서 약 0.2 coin / day
7950X, 7950X3D : 12.26 * 0.2 = 2.452 USDT/일
약 100대(현재의 적정숫자)의 7950X 를 운영한다면 한달 평균으로 계산해서 약 0.23 coin / day
7950X : 12.26 * 0.23 = 2.82 USDT/일
문제는 30대 미만 factorn 채굴시 채산성인데요
독일의 부두풀을 사용한다면 0.12~0.14 coin / day 쯤의 채산성입니다.
7950X : 12.26 * 0.13 = 1.59 USDT/일
TIG코인이나 Factorn코인이나 모두 전망이 높아보입니다.
그래서 저는 연구실의 PC는 TIG로 채굴사무실의 PC는 factorn 채굴합니다.
마치며
factorn 채굴에 대한 채산성 여러 이야기가 있는데요.
독일풀의 경우 최대 채산성은 0.20 ~ 0.24 coin / day 쯤 됩니다.
(풀사용료, 개발비가 모두 정산된 채산성)
장점은 솔로이지만 매일 정산해서 줍니다.
단점은 하나의 세트에 마스터를 2개를 사용하기에 동기화 문제때문에 불안정하게 동작되기도 하며 마스터 2대를 위한 리소스 오버헤드가 있습니다.
특징은 msieve 계산의 마지막 단계에서 최적화를 이루어서 그 시간이 10초정도 단축되었습니다.
저의 채굴프로그램의 경우도 최대 채산성은 0.20 ~ 0.24 coin / day 쯤 됩니다.
(개발비가 모두 정산된 채산성)
장점은 세트당 하나의 마스터만 사용해서 리소스를 최대한 사용합니다. 그리고 모든 셋팅은 사용자가 튜닝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점은 풀이 아니기에 확률의 악몽에 빠질 수 있으며 개인이 셋팅을 해야 하므로 난이도가 있음
특징은 후보자 선출시 CPU를 최대한 활용하여 양질의 후보자 선출이 타 프로그램 대비 높습니다.
폐쇄망 채굴장의 프로그램의 경우도 최대 채산성은 0.20 ~ 0.24 coin / day 쯤 됩니다.
(들리는바로는 이용료가 30%를 차감한다고 하는데 위탁자가 쉬쉬하는 바람에 알수 없지만 그렇다면 실 개인의 채산성은 0.16 coin / day)
장점은 모든 PC의 셋팅과 유지보수등은 채굴장에서 하므로 사용자는 할 일이 없음
단점은 개인에게 돌아가는 코인이 가장 적습니다. 차라리 이럴바에는 TIG 채굴하고 위탁비만 지불하는게 나음 (최소한 채굴코인이 직접 개인 지갑으로 들어옴)
특징은 러시아, 독일 마이너를 유사한 방식을 사용한다는 것이고 기반 소스는 러시아 프로그램으로 알려져 있으나 6개월전에 분기되었기에 지금은 다른 프로그램으로 보는것이 타당
즉, 제가 이야기 하고자 하는것은 개인에게 돌아가는 채산성 얼마인가가 중요하지 채굴프로그램의 채산성이 중요하지 않다 입니다.
아무리 본인의 채굴프로그램이 채산성이 높다고 광고하더라도 실 사용자에게 돌아가는 코인이 얼마인지가 중요하지 그 프로그램의 채산성이 중요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factorn의 네트워크의 기부 이야기도 있었는데요. 언제 고객의 코인에서 기부하라고 했는가요. 본인이 30% 취하는 코인과 본인이 직접 채굴하는 코인(이 부문도 꽤 많은것으로 알고있음)에서 기부하라는 것입니다.
채산성이나 기부나 모두 본말을 호도하는 방송을 하시더군요.
기부하는 모든 사람들은 본인의 코인에서 기부합니다. 고객의 코인으로 기부하지는 않습니다. 설마 그렇다고 하더라도 고객의 동의없이 이루어질 수 없는 것입니다.
어제 추가 기부 60개 포함 총 750개 기부하면서 그제 유투브 방송이 생각나 울화가나서 한마디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