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소하게 업데이트 사항
1.06 버전은 1.061으로 소소하게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1. ver 1.061 업데이트 내용
숨어있는 옵션 W_MUL_INTERVAL 을 추가했습니다. (질문글에 의해 추가 결정)
마스터에만 적용됩니다.
후보자를 선정하기전 초기 후보자 범위입니다.
mine.sh에 다음과 같이 설정하면 됩니다.
export W_MUL_INTERVAL=8
원래 소스(FACTOR.py)에서 설정값은 16 입니다.
현재 1.053 버전 미만의 설정값은 8 입니다.
현재 1.053 ~ 1.06 까지의 설정값은 12 입니다.
% 쿠다를 사용할때 3090이 1회 처리가능한 숫자로 설정했는데 CUDA 유저 보다는 CPU 유저가 많기에 원복하기로 결정
이번 1.061의 설정값은 다시 원복하고 난이도가 증가되었기에 디폴트는 6으로 결정했습니다.
W_MUL_INTERVAL 가 낮으면 초기 진입이 빠를 수 있지만 유력후보가 없을때 다시 받아야 하기에 더 늦어질 수 있습니다.
CUDA-ECM 사용자는 6 이상을 추천합니다.
CPU-ECM만 사용하는 사용자의 경우 1번째 CADO-NFS 진입만 목적이라면 2 또는 3 정도 2번째 연산까지 고려 한다면 4이상을 하세요.
1.061버전은 1.053~1.06 버전보다 기본설정이 12에서 6으로 낮추었기에 1st Sieving 시간이 2~4초가 단축됩니다.
2. ver 1.062 테스트 버전 업데이트 내용
2.1 후보자의 기준 숫자를 낮추어 cado-nfs 의 연산부하 낮추기
후보자의 기준 숫자를 난이도에 따라 랜덤으로 가져옵니다.
이를 여러번 수행하고 가장 낮은 수를 선택하여 소인수 분해 연산 부하를 낮추는것이 목적이었습니다.
사실 이게 효과가 있을지 모르지만 일단 범위내에 낮은 수이기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측됩니다.
% 근간을 살짝 바꾸는것이라 공개하지 않고 테스트하고 있었으나 해당설정으로 2회 채굴되는 것으로 볼때 영향 없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2.2 마스터에 접속한 slave들을 보여줍니다.
이건 그냥 화면을 보면 됩니다.
2.3 노드가 죽었을때 마이너가 죽는 문제
1.0 이후 계속 문제가 되는 문제인데 아직 해결이 안되었어요.
% 테스트 버전은 제가 계속 테스트중이지만 1.061 대비 괜찮아 보입니다.
http://factorn.iptime.org:32080/test/?C=M;O=D
테스트 버전이라 패치본만 있습니다.
(이것도 마스터만 변경해도 됩니다.)
안그래도 1.06 버전이 후보자 수가 많아져서
글카를 카도패스용 사용중이거나 1.03 버전을 사용했는데
옵션을 오픈이라니 ! 감사합니다
1.062 바로 받아 테스트 하는데
전 slave 아이피 목록에
127.0.0.1도 보이네요 (이게 정상인 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