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린이가 듀얼마이닝을 시도해봤습니다.
아, 물론 이 방식의 채산성이 좋았다면 진작에 1순위에 올랐었겠지만...
Hive OS 세팅 중 플라이트시트를 보면서 생긴 궁금증도 있었고, Hashrate.no에 1순위에 오르기도 해서 공부차원에서 시도해봤습니다.
아래는 테스트용 리그에서 17시간쯤 돌린 결과 입니다.
다이넥스의 해시는 평소의 90% 정도, ironfish는 불안정하죠 ㅎㅎ...
아래는 채굴을 종료하고 나서 풀에서 확인한 상태입니다. 결과 참고하시구요
아래는 SRB마이너 디스코드에서 개발자의 언급인데, 이 조합은 현재 버전에서 최적화 커널이 없다는군요.
그래서 아래 SRB 마이너 2.2.5 설명을 참고하여 다이넥스/라디언트 듀얼로 다시 테스트삼아 걸어뒀습니다.
참고로 설정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저와 같은 채린이들은 자꾸 들이대봐야 실력이 늡니다. ㅎㅎ...
1. 플라이트 시트 편집을 눌러 아래와 같이 코인/지갑/풀을 선택해줍니다.
2. 그런 다음, SRB 마이너의 Setup Miner Config를 눌러줍니다.
3.그리고 Second coin을 누르고 RXD 코인의 설정을 해주고 적용을 눌러준뒤 돌려보면 됩니다.
오버값은 어떻게 적용될지 몰라서 First coin란의 다이넥스 설정에만 입력해뒀습니다.
앞으로 깃헙에 정보를 참고해 듀얼마이닝 옵션을 좀 더 추가해볼 생각입니다.
그래서 현재 상태는? 아래와 같습니다.
커널에서 지원하는 조합이다 보니 이 조합은 해시가 안정적이네요
--gpu-auto-tune 1 을 추가해서 나온 결과입니다.
듀얼마이닝시
--gpu-dual-max-loss 옵션은 auto tune mode에서 다이넥스 해시(A0)를 RXD로 얼마나 할당할 것인지 정할 수 있다고 합니다.
--gpu-dual-max-loss value (how much loss of A0 hashrate is allowed in auto tune mode for dual mining, in percent [1-95])
지정하지 않았을 때 기본 5%가 할당된다고 합니다.
PS : 방법을 응용해서 오버값을 손봐서 테스트 중인 현재 상황입니다.
하이브 os에 표시되는 2개의 해시가 아무리 높아도 물리적으로 1개의 gpu가 동시작업으로 200% 효율로 작업을
수행할 것 이라는 기대는 하지 않습니다만...
작동원리도 이해할 겸해서 깃헙의 리드미 내용도 읽어보며 돌려보고 있는데...
아래는 1시간 정도 경과 후 풀의 정보입니다.
위 DNX, 아래 RXD
다이넥스는 해시가 충실히 표시되고 있는 반면 RXD는 들쭉날쭉하며 하이브 os에 표시되는 해시 보다 낮게 작동했네요..
이 결과로 보아 플라이트시트에서 위아래 순서에 상관없이 다이넥스를 우선으로 rxd는 보조로 작동하는 방식인 모양입니다.
다른 옵션도 있으니 시간 날때 짬짬이 테스트를 해봐야겠네요. ㅎㅎ...
PS: 윈도우 버전에서의 멀티 실행화면입니다.(BTRM+DNX+RXD)
배치파일은 SRB마이너 폴더내의 guided-setup.bat을 실행하고 질문에 답하시면 생성됩니다.(대답할 정도는 공부하셔야 합니다. ^^...)
그런 다음 GPU 오버값을 추가하고 실행하시면 됩니다.
CPU는 역시 온도관리 대책이 필수겠네요. ^^...
참고로
Dynex 실행시 Mallob 오류 발생하면
설정문제가 없다면 SRBMiner-Multi-2-2-5\Cache\dynex_compute_w340.cnf 를 삭제하고 다시 실행하시면 될겁니다.
-30 실행오류가 발생하면
--gpu-auto-tune 1을 추가하거나 안되면 --gpu-intensity 250 정도로 추가하셔서 이후 실행됐을 때
화면에 표시되는 gpu-auto-tune 값을 최종 확인하고 배치파일에 추가해주시면 됩니다.
이상입니다
.
모두 화이팅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