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ronfish 소개
아이언피시 채굴 방법에 대해 간략히 소개하려 합니다.
아이언피시는 4월 20일 메인넷 런칭했습니다.
작년 가을 이후로 채굴 시장이 많이 달라졌는데요,
운용 부담감에 접은 사람도 부지기수지만, 운용비 부담이 없는 사람들은 아직까지 다양한 코인을 채굴하고 있습니다.
다만, 수익성이 낮기 때문에 환경 변화가 빠른 시기입니다.
채산성이 조금이라도 큰 곳으로 옮겨 다니는 추세입니다.
특히 초창기 채굴의 경우 선점하는 사람이 가져가는 파이가 다르긴 합니다.
초반에 채굴하면 수량도 많고, 금액도 상대적으로 고평가 받은 채로 거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체크해 보면 정말 하루 단위로 수익이 달라집니다.
지금의 가치가 유지될지, 떨어질지, 더 오를지는 예측할 수 없지만,
현재 GPU 채굴 시장에서 가장 수익성이 높은 코인임은 분명합니다.
Ironfish 채굴하는 방법
Ironfish는 GPU로 채굴 가능한 코인 중에서 가장 수익성이 높기 때문에 관심을 가지는 사람이 많이 있습니다.
Ironfish를 채굴하기 위해서는 해당 프로젝트가 요구하는 노드를 PC에 설치하고 블록을 생성해야 하는데, 노드 설치하는 게 까다롭고, 전용 지갑도 따로 생성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로운 부분이 많습니다.
그래서 보다 간편하게 채굴할 수 있는 방법을 준비했습니다.
현재 Gate.io, Kucoin 두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는데, 거래소 지갑을 활용하는 방법을 소개 드리겠습니다.
Ironfish 지갑 주소 생성하기
저는 Kucoin 거래소를 이용했습니다.
둘 중 어떤 거래소를 이용해도 동일합니다.
Iron 코인을 검색하여 입금 주소를 생성합니다.
지갑 주소와 메모가 있으니까 주의하셔야 합니다.
SRB 마이너 설치
현재 Ironfish를 지원하는 마이너는 총 4가지입니다.
BzMiner, lol Miner, Rigel Miner, SRB Miner
저는 SRB Miner를 선택했습니다.
https://github.com/doktor83/SRBMiner-Multi/releases
배치파일 형식입니다.
--wallet (Ironfish 입금주소)+(memo).name 형식으로,
괄호 안에 본인 지갑 주소 넣으면 됩니다.
노드 설치하는 방법말고 이렇게 거래소지갑과 마이너를 통해 간편하게 채굴하는 방법이 있으니, 관심있으시면 따라해보셔도 좋습니다.
채굴정보 교류해요~
https://open.kakao.com/o/gPacSGpd
근데 수익은 이제 평준화입니다
다 고만고만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