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그동안 여기서 정보를 습득하면서 새로운 코인에 도전할 때면
뭐부터 해야할지 막연했던적이 많았습니다.
여러번의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제가 새로운 코인에 접근하는 과정을 간략히 적어봤습니다.
부족하지만 잘 봐주십쇼~~! ^^....
1. 코인 정보 습득 후 hashrate.no로 ㄱㄱ씽
~코인 채굴 관련 그래픽 카드의 정보를 확인합니다.
2. 채산성 확인하러 minerstat.com/coins로 ㄱㄱ...
~그래픽 카드의 코인 채산성 확인과 사이트 좌측 아래에 코인의 홈페이지 링크도 있습니다.
3. 지갑 생성
~코인 홈페이지 링크를 타고 가서 지갑 정보를 확인 후 PC용 또는 웹지갑을 만듭니다.
4. 채굴풀을 확인하러 아래 사이트로 가서 좌측 검색란에 코인 이름으로 검색
https://miningpoolstats.stream/dynexcoin
~1,2위 풀 정도에서 하나 정하거나 선호하는 풀을 클릭해 링크를 타고 들어가 getting started/strart 등의 시작하기 페이지 정보에서
풀에 접속하는 정보를 확인하고 마이너 옵션등도 함께 체크해 둡니다.
5. 이제 자신에게 익숙한 OS로 마이너를 통해 채굴을 시도합니다.
~채굴에 필요한 그래픽카드의 입력값들은 hashrate.no에서 보고 따라해봅니다.
~윈도우용인든 hive os용이든 자신에게 맞는 걸로...
~여기서도 막연해지는데 저는 lol마이너와 srb마이너가 익숙해서 단독 또는 혼용해서 사용합니다.
~어쨌든 1가지 마이너 쯤에는 익숙해지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익숙해지면 마이너 편집은 문법 처럼 단어의 차이가 있을 뿐 형식은 거의 비슷하다는 걸 눈치챌겁니다.
6. 테스트 결과를 보고 Hashrate.no 와 비슷한지 최적값은 어딘지 gpu 클럭이나 옵셋을 바꿔보는 테스트를 거칩니다.
여기 까지입니다...
저는 오늘 이런 과정을 통해 새로 접하는 alephium 코인채굴을 시도해봤습니다.
채린이들 모두 화이팅입니다~!!!
화이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