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이들 알지만 간과하는 것들
채굴 세팅을 전문적으로 하시는분들은 다들 아실거라 생각됩니다.
그래도 그냥 간과하고 넘어가는 부분 적어볼께요.
1. 파워에 돈아끼지 마세요.
일반 pc는 대충 뻥파워 써도 됩니다. 근데 채굴기에도 뻥파워를 잠시 넣어두세요.
각종 이상증상에 시달려보시면 알겁니다.
참고로 컬러풀 1250w는 사랑입니다.
2. 그래픽 드라이버 삭제시 DDU 사용을 망설이지 마세요.
DDU라는 삭제 프로그램으로 삭제하는거 전혀 어렵지 않습니다.
고맙게도 레지까지 싹 지워주고 리부팅까지 해줍니다.
채굴기 세팅했다가 그래픽카드 다른 넘으로 교체하던가, 엔당 암당 혼합하던가
이런것 해보신 분들은 잘 아실거라 봅니다.
시간 오래 잡아먹지도 않습니다.
자꾸 이벤트로그에서 그래픽카드 죽는 error나오면 꼭 한번 해보세요.
시간 남으시는 분들은 OS부터 싹 밀고 다시...ㅋ
3. 쭈구려 앉아서 채굴기 조립하지 마세요.
=> 머 1시간정도는 쭈구려 앉아도 될것 같다? 이렇게 생각하시는 분들
관절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무릅꿇고 앉으면 5분도 있기 힘들잖아요.
여건이 되신다면 채굴기 들고 넓은 장소로 나와서 서서 교체하시길 바랍니다.
4. 절전모드 해제는 반드시 해야 합니다. 랜카드에 절전기능 체크 해제도 반드시 해야 합니다.
=> 다 세팅했는데, 갑자기 모니터가 깜깜해지고 마우스 움직여도 반응없고,
이런경험 해보셨을 겁니다. 반복된 실수는 않하는게 좋죠?
5. 그래픽카드 쿨러의 속도가 빌빌거리는것을 지켜보지 마세요.
=> 그래픽카드만이 아니라, CPU, 메모리등등 모든 컴퓨터용 제품은 전기를 통해서
동작합니다. 쿨러의 속도가 빌빌거리는거 단순히 구리스가 오래되어서? 뻑뻑해져서?
그래픽카드 생각보다 비싸다고 생각합니다.
웬만한 그래픽카드는 중고가격이 10만원을 넘습니다.
근데 그런 그래픽카드가 어느순간 고이 보내줘야 하는 순간이 오면
가슴이 아프겠죠? 쿨링이 잘 안되면 전체적으로 영향을 받습니다.
CPU는 쿨링이 안되면 메인보드에서 일정 온도가 넘어가면 단절시킵니다. 걍 파워가 차단되죠.
메모리도 쿨링이 잘 안되면 반도체 주변이 누렇게 변합니다.
디스크도 쿨링이 잘 안되면 오래 못씁니다.
하물며 그래픽카드는 어떨까요? 그 내부 안에서 수만은 코어들이 부동소수점 연산을 하기위해서
열심히 입출력이 발생할텐데, 쿨링이 시원치 않으면 당근 문제가 생긴다고 봐야 합니다.
6. 채굴하는 공간의 온도, 습도, 냉방, 먼지, 환기등을 간과하지 마세요.
=> 인터넷데이터센터에 들어가있는 서버, 네트워크, 스토리지 장비들 보면 꽤 오래 쓸수 있습니다.
왜일까요? 항온항습과 안정적인 전력공급으로 메인보드 및 주변장치에 해가 될만한 요인들을
최소화 하게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먼지도 별로 없고, 열도 덜받고, 전압도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우스게소리이지만, 주기적인 시스템 shutdown은 전산기기를 망가트리는 요인이 되기도 한답니다.
7. L2 스위치 가급적이면 좋은거로 쓰세요.
=> 채굴은 인터넷 속도가 중요하지는 않습니다. 엄청난 트랜잭션이 발생하지도 않습니다.
하지만 L2스위치는 꽤 많은 일을 합니다. OSI 7 Layer의 2계층은 Data link layer인데요.
L2스위치는 2계층으로 분류됩니다. Layer 2 switching hub이죠. 2계층은 물리계층에서 변환되어온
bit단위의 디지털 정보를 프레임에 담아서 안정적으로 데이터가 흐를수 있게도 해주고, 오류제어,
흐름제어, 혼잡제어, 데이터 주소지정, 호스트 간의 포워딩, 불필요한 데이터 필터링, 에이징등을
수행하고, 필요한 정보만 흘려보내기도 합니다. 근데 스위치에는 mac address정보를 읽고 쓰는
임시 mac table이 존재합니다. 그래서 A호스트가 몇번 IP주소, 어떤 맥주소를 가진 PC 있냐? 라고
물어봤을때, mac table에서 먼저 확인해보고, 있으면 바로 해당 포트로 포워딩도 시킵니다.
그리고 각 포트당 트래픽이 몰리는 것도 격리시켜주고, 그런데 요즘 스위치들 특히 3com스위치
그리 비싸지 않습니다. 기가포트 통신가능한 스위치도 비싸지 않습니다.
돈 아끼지 마시고, 멍텅구리 스위치로 채굴기 로컬 네트워크를 구성하지 마세요.
장비는 다 돈값을 합니다.
8. 보안에 신경쓰세요.
=> 공유기정도야 다들 구성해서 쓰실거고, 채굴기들도 윈도우던 우분투이던 모두 로컬 방화벽이라는게
존재합니다. 로컬 방화벽 끄지 마세요, 바이러스 보호정도는 꺼야 하지만 로컬 방화벽은 끄지 않기를
권장드립니다. 로컬방화벽 꺼져 있으면 어떤일이 생길까요? 윈도우 PC의 경우 윈도우 업데이트 끄고
세팅하실거에요. 그럼 윈도우 취약점이 생기겠죠? 근데 어떤 한 채굴기가 랜섬웨어, 바이러스, 애드웨어
등에 감염이 되었다? 퍼지는것은 정말 순식간입니다, OS 재설치하면 되지 않냐구요?
채굴장에는 채굴기만 있지 않습니다. 주변기기들도 분명 있을겁니다.
전화도 쓰셔야 하니까 인터넷전화 070도 쓰시겠죠.?
한방에 훅 갑니다. 간과하지 마세요.
잴 무서운건, 모니터링 하면서 스텔스 모드로 패킷 스니핑하고 있다가 채굴장 PC 네트워크상에서
거래소 사이트 접근시에는 누구도 장담할수 없는 불상사가 생길수도 있습니다.
APT공격은 남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돈되는 곳이라면 1년이라도 잠복하고 있을수도 있답니다.
9. 중요한 작업용 PC는 별도의 노트북에서 하시고, 되도록이면 무선테더링이나 무선모뎀으로 잠깐
필요할때만 하시길 권장합니다.
=> 내 코인은 소중하잖아요..
10. 채굴기에 라벨링 하세요.
=> 한두대야 상관없지만, 100대라면?
콘솔연결하다가 볼일 다봅니다.
원격도 마찬가지
그냥 주저리 주저리 써봤습니다.
도움이 되실지 모르지만 남겨봅니다.
장비는 비싸면 비쌀수록 돈값을 톡톡히 합니다.
보안은 꺼진불도 다시보자처럼, 생활화 합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