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ders_free custom_top_html:no
default debug random = 6 / type = READ / detected = READ

 

  https://www.coindeskkorea.com/fatfkyc/

 

  

* 요약

  • 국제 자금세탁방지기구(FATF, Financial Action Task Force)가 암호화폐 회사들을 대상으로 만든 새로운 국제 규제 표준의 최종안을 다음 달 발표할 예정이다.
  • 암호화폐 거래소와 암호화폐 지갑 서비스 업체를 비롯해 암호화폐 거래에 관여하는 모든 업체는 오가는 자금의 일거수일투족을 일일이 확인하는 이른바 “여행 규칙(travel rule)”을 지켜야 한다. 현재 은행들이 지키고 있는 규정과 같다.
  • 암호화폐 업계는 이러한 일괄적인 규정은 지키기 어려울 뿐 아니라 암호화폐 업계의 특징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구시대적 발상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특히 고객의 프라이버시가 크게 침해될 수도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 자금세탁방지기구의 규제는 직접적인 구속력은 없다. 그러나 권고안이라고 해도 이를 지키지 않았을 때 받을 불이익이 워낙 크므로 사실상 강제력이 있는 규정이라고 봐야 한다.

최근 암호화폐 거래소를 중심으로 업계의 관심은 새롭게 제정될 국제적인 규제 표준에 쏠려 있다. 새로운 규제안에 따르면 암호화폐 거래소는 거래소를 드나드는 자금의 경로와 거래 당사자의 신원을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 또한, 금융 당국이 해당 정보를 요구하면 이를 제출하는 것도 의무로 돼 있다.

현행 규제인 고객신원확인(KYC, know your customer)을 넘어서는 새로운 규제 표준은 암호화폐 이용자들과 거래소에 적잖은 부담이 될 것으로 보인다. 거래소와 암호화폐 기업들은 거래 고객의 신원을 파악하는 것 외에 거래 상대방에 대한 정보까지 알아야 한다. 서로 고객 정보를 주고받으며 검증해야 하는 셈이다. 지금 미국 은행들이 이런 규제를 따르고 있는데, 이를 돈이 도는 곳마다 제반 정보를 확인하고 검사한다는 뜻에서 여행 규칙(travel rule)이라고 부른다.

 

 

블록체인 업계는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여행 규칙은 암호화폐 거래소에 적용하기에 현실성이 너무 떨어진다. 암호화폐 속성상 거래소들이 이를 제대로 지키는 것도 사실상 불가능하다. 최악의 경우 이용자들이 당국의 승인을 받은 플랫폼을 버리고 떠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블록체인 업계 대표들은 규정의 일부 내용을 재검토하거나 아니면 적어도 시행을 늦춰달라고 국제 자금세탁방지기구(FATF)를 설득하고 있다. 5월 6~7일 이틀간 오스트리아 빈에서는 FATF의 규제 표준 관련 회의가 열렸다. 주요 거래소의 규제 준수 부서 임직원부터 지역의 비트코인 브로커까지 200~300명의 암호화폐 업계 관계자들이 빈으로 몰려갔다. 이들은 자금세탁방지기구에 규제 표준을 섣불리 시행했을 때 나타날 문제들을 지적하며 업계의 우려를 전했다.

그러나 빈 회의에 참석했던 암호화폐 업계 관계자 4명의 말을 종합해보면 FATF는 요지부동이다. 특히 올해의 순번제 의장국인 미국의 태도가 확고하다. FATF는 초안을 거의 고치지 않고 그대로 최종 확정할 계획을 분명히 했다. 미국 재무부에서 테러리즘과 금융범죄 수사 부문을 총괄하는 시갈 만델커 차관도 이달 뉴욕에서 열린 컨센서스 2019 행사에서 규제 표준은 다음 달 예정대로 확정될 거라고 단호하게 말했다.

 

   

“의장국 임기 동안 미국은 디지털 화폐 분야의 경제 활동을 어떻게 규제하고 관련 행위를 어떻게 감독해야할지를 두고 회원국 규제 당국들과 긴밀히 협의해 왔다. FATF는 6월에 예정대로 배경 설명과 세칙을 포함한 규제 표준의 최종안을 발표할 것이다. 여기에는 각국 규제 당국이 지켜야 하는 사항과 이를 위해 FATF가 도울 수 있는 부분도 명시돼 있다.” – 시갈 만델커, 미국 재무부 차관

만델커 차관은 여행 규칙을 직접 언급하는 대신 지난 9일 재무부 산하 금융범죄단속국 핀센(FinCEN)이 펴낸 30쪽짜리 규정 안내서를 언급했다. 안내서에는 암호화폐 업계도 여행 규칙 혹은 여행 규칙에 준하는 규제를 따라야 한다고 써 있다.

“모두 이 안내서를 꼭 읽어보기 바란다.”

     

“이런 규제는 못 지킨다” 암호화폐 업계는 울상

FATF를 만든 건 선진 7개국 정상회의 G7이었다. 돈세탁을 막아 테러 단체의 자금줄을 끊자는 취지였다. 이번에 개정되는 규제 표준도 암호화폐를 돈세탁에 악용하는 것을 막으려는 것이 목적이다. 만델커 차관은 이렇게 설명했다.

“새로 부상하는 기술은 빠른 거래 속도, 실시간 결제, 전 세계 어디로든 송금할 수 있다는 점, 익명성이 더 확실하게 보장된다는 점 등 많은 이용자와 기업이 좋아할 만한 특징을 고루 갖췄다. 그러나 동시에 불량 국가나 테러리스트들에게도 새로운 기술은 기회라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

FATF가 곧 발표할 최종안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문구는 ‘가상자산 서비스제공자(VASPs, virtual asset service providers)’라는 표현이다. FATF는 지난 2월에 기구의 방침을 공개적으로 설명할 때도 암호화폐 거래소와 지갑 서비스 업체를 아우르는 개념으로 같은 표현을 썼다. VASPs가 등장하는 규제 표준의 7조 b항을 보면 다음과 같다.

“각국 정부는 자국이 관할하는 곳에서 영업하는 VASP가 거래 당사자의 정확한 신원 정보를 파악하고 있는지 감독해야 한다. VASP는 자산을 거래할 때 보내는 쪽은 물론 받는 쪽 거래 당사자의 신원 정보도 가지고 있어야 하며, 거래 상대방 측 VASP에 이를 공유해야 한다. 만약 양쪽 가운데 어느 쪽이든 사법 당국이 거래 당사자의 신원 정보를 요구하면 이를 제공해야 한다.”

거래소가 고객을 대신해 암호화폐를 받을 때도 마찬가지다. 거래소는 암호화폐를 누가 보냈는지 상대방의 신원 정보를 정확히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블록체인 스타트업 시프트 네트워크(Shyft Network)와 페이케이스 파이낸셜(Paycase Financial)을 창업한 조셉 와인버그는, FATF의 규제 표준이 디지털 화폐라는 새로운 기술을 구시대적인 아날로그식 규제에 억지로 구겨넣는 것이라며 강력히 비판했다.

“여행 규칙을 비롯해 현재 은행들이 따르는 규제들은 거의 예외 없이 자금을 거래하고 돈을 주고받을 때 중개인을 거쳐야만 했던 시절에 만들어졌다. 암호화폐 거래는 완전히 성격이 다르다. 중개인 없이 사람과 사람 사이에 직접 이뤄지기도 하고, 스마트계약을 이용해 기계끼리, 기계와 사람끼리 무수히 많이 거래하도록 고안된 체계다. 거래소나 기업의 사업 대금을 치르는 용도로 개발된 것이 아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블록체인 분야 자문위원이기도 한 와인버그는 규제가 현실성이 너무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이런 구닥다리 표준을 강행한다면 시스템을 제대로 관리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해질 것이고, 디지털 경제 생태계 전체에 암흑기가 도래할 수도 있다.”

미국 암호화폐 거래소의 규제 담당 부서에서 일하는 한 임원은 규제 표준이 효과적이지 않다는 점을 좀 더 현실적으로 설명했다.

“암호화폐 거래소와 기업들이 FATF 규제 표준 최종안을 준수하는 것도 못 할 일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다만 무수히 많은 거래와 결제의 당사자를 일일이 확인하고 감독하는 일은 사법 당국에도 비용이 어마어마하게 드는 일이다. 사법 당국의 궁극적 목표 실현에도 이런 일괄적인 규제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

런던에 있는 글로벌디지털금융(GDF)이라는 단체는 지난 4월 FATF에 직접 서한을 보내 암호화폐 생태계에 기존의 은행을 규제하던 방식을 적용해선 안 된다며 그 이유를 조목조목 설명했다. (해당 서한에는 코인베이스와 서클의 임원, 은행들이 꾸린 블록체인 컨소시엄인 R3도 서명했다) 대표적으로 현재 은행들이 돈을 주고받을 때 사용하는 전신송금(wire transfer) 방식과 암호화폐 트랜잭션을 비교해보면 차이점이 명확히 보인다.

은행이 전신송금 방식으로 돈을 보내고 받을 때 사용하는 IBAN 숫자에는 돈을 주고받는 당사자의 모든 정보가 고스란히 담겨있다. 아래 예로 든 코드를 보면 어느 나라의 어느 은행, 어느 지점에 있는 누구의 계좌로 돈을 보내는 건지 모든 정보를 알 수 있다. 하지만 비트코인 주소는 그 자체로 암호화를 거쳐 아무런 의미 없는 숫자와 문자의 나열일 뿐이다. 주소를 아무리 들여다보고 있어도 암호화폐를 보내는 사람과 받는 사람의 정보는 절대로 알아낼 수 없다.

 

    중략

 

    

FATF가 마련한 표준, 지켜야 하나?

FATF가 이렇게 논란이 되는 규제 표준을 그대로 강행해 지침으로 제정한다고 해도 바로 다음날부터 모두가 이를 따라야 하는 것은 아니다. 회원국들이 이를 토대로 법을 개정하거나 새로 만들어 통과시켜야 한다.

UC 산타바바라 정치학과의 줄리아 모즈 교수의 설명을 보면, 그렇다고 해서 지키면 좋고 안 지켜도 그만인 단순한 ‘권고’ 정도로 여겨서도 안 된다.

“FATF의 권고안이 법적 구속력이 있는 국제법은 아니다. 하지만 FATF 36개 회원국(유럽연합 집행위원회, 걸프 협력회의 포함)은 사실상 세계 경제와 금융을 주도한다. FATF 회원국이 뜻을 모으면 금융의 기준과 게임의 규칙을 새로 쓸 수 있다. 그러므로 권고안이라도 현실적으로 지키는 편이 여러모로 낫다. 미국이나 영국처럼 금융 산업의 표준이 되는 나라가 FATF의 규제 표준을 적용하면, 이는 자연히 세계 여러 은행과 금융 기관의 사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다. FATF 회원국이 아닌 나라에도 상당한 효과를 미친다.”

게다가 FATF에는 자체적으로 회원국들이 규제 표준을 잘 지키고 있는지 조사하고 감독할 권한이 있다. 조사 결과 규제를 무시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 금융 시스템에서 배제될 수 있다.

“규제를 대놓고 따르지 않거나 심각하게 위반했을 경우 해당 국가나 금융 당국은 FATF의 요주의 대상에 오르고, 궁극적으로 블랙리스트에 등재된다. 블랙리스트에 오른다는 것은 FATF 회원국과 사실상 전 세계 모든 나라에 해당  나라, 정권, 은행, 기관이 정해진 규칙을 지키지 않고 있으니 이곳과 금융 거래를 하지 말라는 뜻이다.” – 마크 낸스,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 국제관계학부 교수

일단 암호화폐 업계는 규제 표준이 최종 확정될 때까지 기다리고 있다. 그러면서 자국 정부가 규제를 거스르지 않으면서도 효과적으로 암호화폐 사업을 계속할 수 있는 방안을 찾을 수 있도록 시간을 바라는 상황이다.

와인버그는 암호화폐 업계가 뜻을 모아 FATF의 규제 표준을 적용하는 데 유예 기간을 두는 방안을 적극 제안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유예 기간에 업체들이 규제를 효과적으로 지킬 수 있는 대책을 수립하자는 것이다.

유예 기간 인정은 전례가 있다. 미국의 재무부 산하 금융범죄단속국 핀센(FinCEN)은 지난 1995년 미국 은행들을 대상으로 여행 규칙에 부합하는 소프트웨어를 도입하도록 규정을 바꿨다. 하지만 소프트웨어를 검토하고 시험해 도입하는 데 시간이 필요하다는 점을 인정해 2004년까지 업계가 규정을 지킬 수 있도록 유예 기간을 줬다.

FATF의 새로운 규정이 암호화폐 거래소나 지갑 서비스 업체에 경영상 부담이 되는 것과는 별개로, 프라이버시를 가장 중요한 것으로 여기는 암호화폐 이용자들이 여행 규칙에 준하는 엄격한 규제를 과연 받아들일지도 미지수다.

정부를 비롯한 중앙의 감독과 통제에 특히 맹렬히 저항해 온 사이퍼펑크들은 지금의 암호화폐 거래소나 수탁 업체도 지나치게 중앙화됐다고 비판한다. 가장 소중한 개인의 신원 정보를 더 많은 중앙 기관, 금융 당국에 보고하고 공개해야만 하는 원칙은 이들에게 참을 수 없는 도발일 수도 있다. 와인버그도 이 점을 지적했다.

“(FATF의 규제 표준은) 사실상 암호화폐에서 익명성이라는 속성을 완전히 지워버렸다. 이제 규제 당국의 감독을 받는 기관이 거래 당사자의 신원 정보를 정확히 파악하고 있어야만 한다. 애초에 암호화폐가 약속했던 기본 중의 기본이 무너지는 셈이다.”

 

  

 

  

 

 

 

 

 

 

 

 

 

-------------------------------------

꼬리말

* 게시글 내용 삭제레벨 강등

* 질문은 각 주제별 게시판에 적어주세요.

 

비트코인 암호화화폐 커뮤니티 땡글~ 땡글~

-------------------------------------

2,897

rhdwjd님의 서명

댓글 12
default debug random = 0 / type = READ / detected = READ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조회 수 글쓴이 날짜
공지 ESN 블록체인 네트워크 종료 안내(2024.12.31) 5911
관리자
2024.12.27
공지 ESN 블록체인 네트워크 중단 및 토큰 스왑 일정 안내 25 2 24300
관리자
2024.11.15
이건 좀 심각한듯. . 북한 경제 제재급?     https://www.coindeskkorea.com/fatfkyc/      * 요약 국제 자금세탁방지기구(FATF, Financial Action Task Force)가 암호화폐 회사들을 대상으로 만든 새로운 국제 규제 표준의 최종안을 다음 달 발표할 예정이... 12 8 4872
rhdwjd
2019.05.29
19521 [오전 뉴스 정리] 2억 XRP, 리플 OTC 계좌로 이체 어제밤~ 오늘아침까지 뉴스입니다.      2억 XRP, 리플 OTC 계좌로 이체 10:52 2019년 05월 29일 수요일   오늘 오전 8시 16분 2억 XRP가 리플 에스크로 지갑 'rDdXiA3M4mYTQ4cFpWkVXfc2UaAXCFWeCK'에서 리플 OTC 주... file 1 1444
GEEK
2019.05.29
19520 비트코인 1천만원 돌파하자마자 정부가 또 개입하네요.   국내외 거래소 가격 기준 비트코인 가격이 1000만원을 넘어선 가운데, 정부가 긴급회의를 열어 “암호화폐 투자는 변동성이 커 큰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며 투자 유의를 요청했다.     노형욱 국무조정실장(장관급)... 15 1 2702
메르시
2019.05.29
19519 트레이딩 고수님들 트레이딩봇 개발했어요 테스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마루마루 입니다.   벌써 1년 6개월정도 지난 2017년 12월 위즐이라는 트레이딩 봇을 기억하시는지요    그동안 블럭체인 관련 개발과 사업진행을 하면서 그래도 버리기 아까웠던 프로젝트를 완료 하... 40 file 13 11120
마루마루
2019.05.29
19518 [ Bearish Evening Star ]         개인이 생각하는 여러 관점과 경우를 생각해볼 수 있는 분석글 입니다 맹신하지마시길 바라며, 매매전략을 구상하는데 참조/참고용도로만 보시길 바랍니다 * 해당 분석자료가 내용이 크게 없어도, 작성하는데... file 1 576
은사님
2019.05.28
19517 캔디 상폐인가요?   그거 비트코인 골드나 제트캐시 댕ㅇ으로 캐던 equilhash 알고리즘 코인 아니었나요...   얼핏 이 이야기를 작년도 들은거 같은데, 아 이미 작년 이야기인가요?                     -----------------------------... 3 1 1414
메르시
2019.05.28
19516 한없이 고민하다..한번만 읽어주세요...     안녕하세요? 하루하루가 절망적으로 살아갑니다..물린 코인때문에.. 일년정도 지낫나요... 패닉상태로 일만 하다..이대로 바보같이 있지말고 물려있는 코인좀..찾고자 물타기를 해보려 하는데 조언좀 부탁드리겠... 40 8 4779
고고고고고
2019.05.28
19515 633호 : Tokenization, 암호화폐시장의 새로운 변화 (IBK기업은행 경제연구소)   IBK기업은행 경제연구소가 발행   PDF업로드가 안되는관계로. PDF다운로드입니다.    http://research.ibk.co.kr/research/board/economy-news/download/251343/1     읽어보니깐 자산의 토큰화에 대해서 이야기합... 0 717
밝은마나
2019.05.28
19514 630호 :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추진 현황과 시사점 (IBK기업은행 경제연구소)   kif 들렀다가 보니깐 있네요. 3월28일자입니다. IBK기업은행 경제연구소   PDF파일 다운로드입니다. PDF파일은 안올라가지네요.   http://research.ibk.co.kr/research/board/economy-news/download/251317/1     1 1 515
밝은마나
2019.05.28
19513 [속보] 정부 "암호화폐 가격급등 예의주시... 불법 행위 엄정 단속" .........하... 정부 "암호화폐 가격급등 예의주시... 불법 행위 엄정 단속" 16:11 2019년 05월 28일 화요일   정부가 최근 비트코인 시세가 천만원을 돌파하는 등 암호화폐 시세 급등에 대해 예의주시 중이라고 밝혔다.   노형국 국... 17 file 2 2370
GEEK
2019.05.28
19512 BTC 채굴 난이도 조정 D-2, 사상 두번째로 높은 7.26T 전망 BTC 채굴 난이도 조정 D-2, 사상 두번째로 높은 7.26T 전망 14:55 2019년 05월 28일 화요일   비트코인 데이터 플랫폼 'btc.com'의 데이터에 따르면, 2일 20시간 후 비트코인 네트워크의 채굴 난이도가 8.33% 오른 7.... 0 1130
GEEK
2019.05.28
19511 존버할때 주의할점 -사고사례- 자의든..자포자기든(?) 존버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마냥 몇년 잊고 살 생각 하시다 정말 잊어버리는 상황이 올수도 있어   주의할점 몇가지 알려드립니다.   참고로...전부 저와 제 가족들이 겪은 실 사례입니다;;; ... 13 13 4588
rockwheel12
2019.05.28
19510 시장 훈풍에 국내 코인투자자 급증, 매주 100만명 거래 5월 28일 오전 뉴스 브리핑 08:14 2019년 05월 28일 화요일   [시장 훈풍에 국내 코인투자자 급증, 매주 100만명 거래] BTC 상승세에 국내 주요 암호화폐 거래소 이용자가 100만 명을 회복했다고 뉴스1이 27일 보도했... 2 1305
GEEK
2019.05.28
19509 [바보쿠우] 2019년 5월 28일 비트코인 차트 분석 2019.5.28(2019년 5월 28일) #비트코인 #업비트 #비트파이넥스 #비파 #Bitfinex #차트분석 #가상화폐, #암호화폐, #가상통화, #암호자산 - #바보쿠우 의 쉬운 차트분석 ​ #비트코인, #이더리움, #테더, #리플, #스텔... 2 file 4 1731
바보쿠우
2019.05.28
19508 라코가 이더보다 힘이 훨씬 좋군요.     뭐 아직까지는 이더가 물랑 빨로 2위를 유지하고 있긴 하지만..   18년 7월   이더 53~45 전후로 와리가리 라코 95000~110000 왔다갔다   19년 5월 말 지금   이더 33 라코 13.5     이더가 아니라 라코나 비트가... 3 1 1890
메르시
2019.05.28
19507 크립토피아 같은 준대형 거래소도 파산을 하다니..   그동안은 거래소 지갑에 대한 불신을 갖고 있다가   17년 말인가 빗썸 입문 이후, 에이 한번 써보니까 별거 아니네 라는 생각이 들었거든요.     그 뒤로 개인 지갑이 아닌 거래소 지갑에 제 암호자산을 전액 보관... 1 1139
메르시
2019.05.28
19506 새벽 불쇼~ 리플 500원 넘었네요.   위젯을 보기 행복한날 ㅎㅎ                     ------------------------------------- 꼬리말 * 게시글 내용 삭제시 레벨 강등 * 질문은 각 주제별 게시판에 적어주세요.   비트코인 암호화화폐 커뮤니티 땡글~... 1 file 1 1198
메르시
2019.05.28
19505 채굴기를 정리하니 생각보다 허전하네요.   제가 능력이 부족한 관계로 어쩔 수 없이 채굴기를 정리했습니다.   마침 비가 옵니다. 전용 인터넷 선을 해지하고,  담배를 뻑뻑 피다가 출발해서 시집 보냅니다.   쑥쓰러워, 부끄러워 떠나는 모습을 이곳에  그 ... 24 12 3367
지나니
2019.05.28
19504 크립토피아가 망했네요?? ㅠㅠ;; 아.. 아무리 코인계를 떠났었다고 해도 그렇지 거래소가 망하는데 여지껏 모르다가 이제 알았네요 .. ㅠㅠㅠ   알트코인들 한 60만원어치는 들어있었는데요..    지금은 대충 찾아보니 다 끝난상황인듯 보이는데, 혹... 8 1 3252
나무를스치는바람
2019.05.27
19503 비트코인 1000만원 돌파 이유, 추가 상승 가능할까?         -엽기팬돌이 5월 27일-       안녕하세요       여러분들에게 코인시장에 대한   정보와 소식을 알려드리는   팬돌이 입니다       오늘은 어떤 소식이 있었는지 같이 보실까요~?     꼬 꼬~~         먼저 ... 1 file 4 1952
한코
2019.05.2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 1189 Next
/ 1189
default debug random = 0 / type = READ / detected = RE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