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ntom custom_top_html:no
default debug random = 2 / type = READ / detected = READ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댓글로 가기 위로 아래로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댓글로 가기 위로 아래로



세계 수많은 빈곤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금융에 대한 접근성이 없습니다.
멀리 가지 않고 제가 살고 있는 아르헨티나만 보더라도 인구의 70% 가까이는 금융 계좌가 없습니다.
은행에 계좌를 만들기 위해서는 우선 직업이 있어야 합니다. 세무청에 등록된 납부자 번호가 있어야 하고 자신의 명의로 된 공공요금 납부 기록이 있어야 합니다.

이런 증빙자료를 제출 하지 못하면 계좌를 개설할수 없죠. 대부분의 빈민촌은 공공서비스가 제대로 제공되고 있지 못하고 고정적인 직업이 없이 시간제 일당으로 일하는 이들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금융권에 대한 접근이 불가능 한것입니다.

이런 여러가지 원인들 때문에 빈민에 대한 지원은 생필품을 직접 제공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죠.

실물을 통한 지원은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합니다. 일단 식품일경우 매우 높은 운송비용이 발생합니다. 또한 운송에 걸리는 시간때문에 신선 식품일경우 냉동 컨테이너를 사용해야 하죠. 그래서 주로 건조 식품을 지원 하곤 합니다.

물론 이런 물류비용 이외에도 더 큰 문제들이 있죠. 중간에 여러 곳을 거치다 보면 필히 부정부패가 발생합니다.
아프리카 빈곤국을 보면 지원되는 물품의 상당수가 빼돌려지고 암시장에서 팔리는 상품이 되어 버리기도 하죠. 이렇게 효율이 떨어지지만 그래도 그런 지원을 기다리는 사람들을 위해서 단 10%의 효율밖에 없는 구조라 해도 운영할수 밖에 없는 현실입니다.

그럼 블록체인을 활용하여 어떤 변화를 만들수 있을까요?
블록체인 세계의 금융은 장벽이 없습니다. 금융에 대한 접근이 안되는 모든 이들이 쉽게 계좌를 만들수 있습니다.
요즘 저개발 국가에서 핸드폰 사용이 급속히 늘어나면서 인터넷의 접근이 용이해 지고 있습니다. 이런점을 이용하면 모두가 블록체인을 통해 쉽게 금융에 접근할수 있게 되죠.

이렇게 금융에 대한 접근성이 좋아 지며 계좌를 만들수 있게 된것이죠. 인터넷 속에 가치를 보관할수 있게 되면 수많은 장점이 있습니다.
저소득층이 생활하는 공간은 도난에 매우 취약한 구조입니다. 현금을 지원 받게 되면 쉽게 도난 당할수 있습니다. 하지만 인터넷속에 보관하게되면 상대적으로 더 안전하게 가치를 보관할수 있게 됩니다.
가족구성원중 일부가 선진국에 이주하여 매우 쉽게 소득을 보내줄수 있습니다.

현재 일반적인 은행 시스템을 통해서는 매우 비싼 수수료와 많은 중계 상을 거쳐야만 돈을 전해 줄수 있습니다.
세계적인 소액 송금업체 웨스턴 유니온 같은 곳에서는 수수료로 15% 를 지불해야 하고 때때로 국가 상황에 따라 30% 까지도 지불합니다.

구호단체에서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현금지원을 한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수단에 등록된 빈민이 1000가정이 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구호단체는 1000 가정에게 월 50불씩 지원합니다. 즉 월 5만불의 비용이 필요하죠. 이를 지원하기 위해 모든 가정의 대표자에게 느리지만 인터넷이 되는 저렴한 핸드폰이 지급되고 블록체인 지갑을 생성합니다.

이들에게 자동으로 분배되는 스마트 컨트랙을 생성합니다. 월 5만불이 자동으로 1000가정에 분배 됩니다.
만약 식품을 지원하는 구호 단체라면 분배되는 토큰은 음식으로 교환하는 식품 쿠폰역할을 하게 될것입니다.

구호단체가 교육비를 지원하는 곳이라면 교육비로 사용할수 있도록 책이나 문구를 구입하도록 사용 용도를 교육으로 제한 할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직접 가정으로 지원이 되면 실물 제품을 배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물류비용, 감독인력이 줄어들수 있습니다.

최소한의 인력만 해당 국가에 상주하며 지원 자격만 심사하면 됩니다. 이들은 직접적인 지원을 받음 으로서 구호자금의 손실을 최소화 할수 있게 됩니다.

물론 지급 받는 토큰의 사용처를 제한 하여 용도 이외의 사용을 막을수 있는 기능도 합니다.
같은 방식은 아니지만 이미 UNICEF 같은 국제 구호단체에서 제한적이지만 블록체인을 활용하여 가시적인 성과를 얻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구호단체에 정기적으로 자금을 지원하는 사람들에게도 실제 자금의 흐름을 알수 있게 하여 더 높은 투명성을 확보할수 있게 됩니다.
부정부패는 NGO 모금활동의 가장 큰 장벽이기도 합니다. 블록체인을 통해 자금의 사용과 지원을 누구나 파악할수 있게 된다면 구호단체 에서 벌어지는 비리때문에 지원을 꺼려하던 이들도 믿고 자금을 지원할수 있는 동기를 만들어줍니다.

아르헨티나에서 이전 정부에서 빈민을 지원하기 위해 여러가지 장치를 제도적으로 만들었습니다. 그러나 그 과정에 사람들이 개입되면 항상 비리가 발생했습니다.

빈민 아동들의 보건과 교육을 향상 시키기위해 정부는 각 아동당 매달 50불에 해당하는 현금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해당 현금을 보건이나 교육과 무관한 곳에 사용하는 것을 막을 장치가 많지 않습니다.

국가에선 지속적인 지원을 받기위해서 부모들에게 의무적으로 예방접종 확인서와 학교 성적증명서를 제출해야만 합니다.
그러자 위조된 예방접종 확인서와 성적 증명서가 만들어 졌습니다. 이렇게 자녀에 대한 지원을 받지만 아무렇게나 방치하고 지원금은 자녀와 상관없이 개인적 유흥비로 사용하거나 마약을 구매하는 등의 일이 발생하게 됩니다.

블록체인을 활용하게된다면 위조된 확인서를 사용하기 어려워지겠죠. 그리고 공무원을 통해 일일히 확인하는 과정없이 스마트컨트랙에 지정된 조건을 이행하면 자동으로 지원금이 빈민에게 이채 되는 알고리즘을 구성할수 있습니다.
물론 지원되는 자금도 특정 용도의 토큰으로 지급하여 교육이나 보건에 관련된 곳에서만 사용할수 있도록 한다면 더욱 엄격한 관리가 가능해 질수도 있을 것입니다.


블록체인을 통해 이렇게 감시인력을 줄일수 있으며 단계가 줄어드는 만큼 부정,부패의 기회 또한 줄어들게 됩니다. 이렇게 줄어든 운영비는 혜택을 받아야 하는 아동들에게 더 많은 지원이 이루어지도록 할수 있을 것입니다.


[알림: 이 게시글은 관리자에 의해 ''에서 '트레이더스'로 이동되었습니다]
15,211

틴톰님의 서명

부에노스아이레스에 거주중입니다.
경제,사회,교육,환경 문제에 관심이 많습니다.
한때는 개발자 였습니다.

유튜브 채널 : https://www.youtube.com/channel/UCARBURB4U03nDX0Hw0OTUrQ?view_as=subscriber

 

Attachment
첨부 '1'
댓글 18
  • 빈익빈 부익부가 참으로…….
  • ?
    사회약자들을 위한 각종 시스템에 도입이 시급합니다..
  • ?
    기본적인 식료품도 안들어가는데 블럭체인을 활용하기 위한 인프라가 어떻게 들어갈 수 있다고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식료품은 못들어가는데 핸드폰은 들어간다라...... 그거 먹을 수 있는 건가요?
  • ?
    @카이져
    한국으로 논하자면 자기집은 없어도 자기차는 있는 그런 원리죠...

    한국의 구조와는 달리 선불폰이 더 발달해 있는 나라도 있고.

    가족끼리 폰 하나 가지고 있는 경우도 있고.

    날품팔이 일을 하더라도
    일 때문에라도 어쩔 수 없이 구매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더러 있죠.

    빈민의 경우는 대개가 선불폰이 아닐까 싶긴 합니다.


    현실은
    아프리카 빈민촌에서도 휴대폰 쓰고
    아마존 밀림에서도 휴대폰 씁니다.

    저곳이라고 쓰는 사람이 없을 이유가 없죠.


    달러의 정반대편에서서 투쟁 벌여야 할 화폐가 암호화폐인데 과연 미래가 어찌 될런지....
  • ?
    @id:Dr.뮤턴
    휴대폰을 구입할 수 있는 경제력이 있는 사람이나 차를 구입할 수 있는 소비자를 빈민이라고 하지는 않는데요?
    구호할 필요성이 높은 것도 아니구요.
    휴대폰 살 수 있고 차 살 수 있는데 빈민이라 그럽니까? 오히려 그렇게 말하면 해당 당사자들이 화낼껄요?
    식료품.... 물도 구하기 힘들다는 소리입니다. 그런데 그런 환경에 어떻게 블록체인이 쉽게 들어갈 수 있다고 하는지요?
    물이라도 들어갈 수 있게 해야 하는거 아닌가요?

    빈민의 정의를 제가 잘못 알고 있는 건가요?
    한국의 주택 비소유자가 압도적으로 많습니다만, 그걸 빈민이라고 하면 어떤 경제학자도 동의하지 않을겁니다.
  • ?
    @카이져
    비유를 말 뜻 그대로 받아들이시니 할 말이 없네요.
  • ?
    @id:Dr.뮤턴
    ^^ 벗어난 이야기지만, 글쓴이도 뮤턴님도 블록체인과 빈민에 대한 이해도를 비유로 설명하셔야 할 이유가 따로있나요?
    식료품도 제대로 수급이 어려운 빈민이라고 쓰시고 구호활동과 운송에 대해 이야기 하셨는데, 여기 어디에 비유가 필요한가요?
    스마트폰 구입 가능한 경제적 빈약층은 우리나라에도 있습니다. 아울러 부정부패가 0인 곳은 국제사회에서 존재하지 않습니다.
  • @id:Dr.뮤턴

    제대로 된 주택이 없고 음식이 부족해도 많은 사람들이 휴대폰을 가지고 있습니다.
    남미 곳곳의 낙후된 지역에서 최저수준의 생활을 하는 이들에게 휴대폰은 생명줄과같습니다.

    악천후의 소식을 들을수 있는 유일한 소통의 창이기도 하며 큰 도시에 나가서 일하는 가족과 연락할수 있는 유일한 통로이기도 합니다.
    때때로 일감을 알려주는 곳이기도 합니다.
    물론 휴대폰이 이들 수준의 경제력에서 저렴하거나 쉽게 구매할수 있지는 않지만 집에 모든 것을 팔아서라도 가지고 있어야 하는 필수품입니다.
    이들이 사치하거나 경제력이 있어서 휴대폰을 사용하는것이 아닙니다. 생존을 위해서 필요한것이죠.

    주로 철지난 오래된 중고품을 많이 사용합니다. 요금도 가장 저렴한 선풀서비스를 이용하고 여러가족이 1대를 공유하기도 합니다.
    현대 정보화 시대에서 정보로부터의 고립은 생명과도 직결되는 문제이기 때문에 저개발국가라 해도 필수품이 되어 가고 있습니다.

    TV도 없고 전기가 들어가지 않는 지역에서도(마을의 태양발전등을 이용함) 핸드폰을 사용합니다. 집중호우를 알려주고 지진소식, 화산상태도 알려줍니다.
    라디오보다 훨씬 중요한 정보들을 얻을수 있는 장치로써 대부분 휴대폰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빈곤의 모습이 우리가 예상하는 모습이 아닌경우가 많습니다. 옷도 멀쩡하고 보기에 빈곤한 사람 같아 보이지 않은 경우도 많죠.

    우리 머리속에 있는 이상적인 빈곤의 모습이 아니라고 빈민이 아닌것은 아닙니다.

    아래 기사에 보면 일본의 빈곤층에 대한 이야기가 나옵니다.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1874542

  • ?
    @틴톰
    스마트폰을 보유하며 그 요금을 지불하는 능력이 있는 사람을 빈곤 빈민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한국에 스마트폰을 보유하고 요금제를 지불할 능력이 없는 사람도 빈곤 빈민이라고 정의하지 않습니다.
    그럼 스마트폰의 가치와 희소성이 더 높은 타국에서 그걸 소유하고 사용하는 사람은 빈민입니까?

    경제적 수입이 굉장히 낮은 사람을 빈민이라고 칭합니다.

    용어의 옳고 그름을 따지려는게 아닙니다.

    애당초 저의 질문은 식료품 조차 수급이 어렵다면 그 수급이 이루어지도록 하지도 못하는 환경을 블록체인이 그 환경을 개선 시킬 수 있냐는겁니다.

    '실물경제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곳에서 통신이 되니 블록체인이 해결할 것이다.' 가 무슨 근거인가요?

    실물경제가 제대로 이루어진다는 G7 어느 국가에서도 블록체인을 통한 실물경제의 보완사례를 본적이 없습니다.

    가능성에도 현재 물음표가 찍히는 상황인데 말입니다.

    그래서 일본은 빈곤층에게 블록체인으로 구호활동이 가능한가요?
    객관적으로 한국보다 선진 금융시스템에 기축통화의 지위를 가진 일본에서도 뭐가 아쉬워서 블록체인은 잠잠할까요?
    시스템은 선점하는게 엄청난 이익인데 말이죠.


    부자의 모습은 우리가 예상하지 못하는게 아니자나요
    부자는 상상 가능한데 빈자는 왜 못하는거죠? 아닌가요?
  • @카이져

    말씀하신것 처럼 아직까진 블록체인을 통한 빈민, 난민 지원이 매우 제한적 입니다. 사례가 매우 적지만 일부에선 시도하여 매우 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기도 합니다.

    https://www.sedaily.com/NewsView/1S4Q18JYH0

    https://www.coindeskkorea.com/un-%EC%84%B8%EA%B3%84%EC%8B%9D%EB%9F%89%EA%B3%84%ED%9A%8D-%EB%82%9C%EB%AF%BC-%EC%A7%80%EC%9B%90-%EC%9D%B4%EC%96%B4-%EB%B8%94%EB%A1%9D%EC%B2%B4%EC%9D%B8-%EA%B8%B0%EC%88%A0-%EB%8D%94-%EB%84%90%EB%A6%AC/

    이 두 기사 이외에도 여러곳에서 시도 중이며 앞으로 더 많은 적용 사례가 나올것이라고 예상됩니다.
    블록체인의 기능이 오직 암호화폐를 유통시키기 위한 것은 아닙니다.

    투명성과 중간단계들을 줄이며 더 효율적인 자원의 배분을 할수 있도록 해주는 시스템으로서의 역할도 훌륭하게 하고 있죠.
    아직은 시험단계이지만 기술이 더 성숙할것이고 그리 멀지 않은 미래에 더 좋은 적용 사례를 기대하셔도 됩니다.

  • @틴톰
    틴톰님 축하합니다. 29 보너스 캐시에 당첨되셨습니다.!!
  • ?
    @카이져
    제가 쓰려던걸 이미 쓰셨네요 ㅋㅋ
    핸드폰 뿐이겠습니까 망이 구축되어야 합니다.
    그정도 기반 시설이 마련 된정도면 정부가 기초생활및 교육을 직접 부양 할 정도가 되겠지요
  • ?
    @카이져

    아프리카 스마트폰 보급률 검색해보시면 될듯.
    스마트폰이라고 해도 갤럭시 그런게 아니라 중국산 화이트박스 물량이고, 프리페이드 요금제로 유지되는게 많구요.
    확실한건 은행 보급되는거보단 훨씬 빠릅니다.

    한국은 다들 체면때문에 비싼거 쓰니까(갤럭시A니 J니 하는거 다 포함해서), 아래쪽 생태계 굴러가는거 잘 모르시는듯..

  • ?
    @카이거
    아프리카 스마트폰 보급률이랑 빈곤 빈민이랑 어떤 관계가 있길래 보라고 하시는지?

    그리고 아프리카 스마트폰 보급률이 아래쪽 생태계입니까?

    아프리카 스마트폰 보급률이랑 빈곤 빈민과 무슨 관계인지 정도는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한국 스마트폰 보급률이랑 빈곤 빈민과 무슨 관계가 있습니까?
  • ?
    @카이져
    스마트폰 보급률이 올라갈 때, 빈민층 보급률이 올라갈까요 내려갈까요
    아프리카랑 차이는 있지미나, 한국에서 소득 1분위가 스마트폰도 없는 계층이던가요?
    빈민을 무슨 굴다리 밑에서 노숙하는 이미지로 상상하시는게 아니신지...
  • ?
    @카이거
    답은 알 수 없다죠~
    무슨 근거로 그리 판단 하시는지 알려주세요.
    소득 1분위가 스마트폰이 다 있어야 한다는 근거는 무엇인가요?
    굴다리 노숙이 빈민 빈곤이랑 무슨 관계인가요?
    굴다리 노숙 하면 다 빈민 빈곤인가요?

    아프리카의 빈민층 비율이 스마트폰 보급률과 무슨 상관 관계가 있습니까?

    스마트폰을 구입하여 사용하고 요금을 지불할 경제적 능력을 가진 사람을 빈곤 빈민이라고 하지 않습니다.
  • @카이져
    카이져님 축하합니다. 14 보너스 캐시에 당첨되셨습니다.!!
  • ?
    @카이져

    근거는 위에서 아프리카 스마트폰 보급률 검색해보시라고 한거구요.
    소득 1분위가 스마트폰이 있어야 한다는 '당위'를 말씀드린게 아니라, 소득 1분위도 스마트폰 보유 비율이 늘어난다는 '사실'을 말씀드린겁니다.
    아무래도 실제 가난한 생활에 전혀 관심없으셔서 전혀 공감 못 하시는 것 같은데, 조금 주위를 둘러보세요.
    스마트폰을 구입하고 사용하고 요금을 지불하지 않으면 빈민층에서 벗어날 수 없습니다.
    스마트폰 없이 업무 가능하신가요?
    빈민층이 일하지 않고 빈민을 벗어날수 있을까요?

default debug random = 0 / type = READ / detected = READ

  1. 등록된 글이 없습니다.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Next
/ 6
default debug random = 0 / type = READ / detected = RE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