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열심히 일하고 있는 저의 리그의 완성형을 소개합니다. Lamborighini....
간략하게 사진에 설명을 달겠습니다. 많이도 찍었네요.^^ㅋ
끝없는 사포질... 그리고 흔적들.. 곱게되길 바라는 마음에 하루 종일 사포질만 했던 것 같아요.. 하라는 채굴은 안하고;;
작품명 : 빼빠..
뒷태..
지금 보이는 저 부분은 분노의 사포질로 완성된.... 윈드홀~
쿨러가 저 부분에 결합되어 파워들을 식혀줍니다. '_'b
양쪽 모두를 섬세한 사포 터치로 처리하였습니다... 장인 정신으로.. '_'
이제 조금 반짝이죠? 깨끗하게 딱은 뒤 수성 우드바니쉬(데프트 클리어우드 바니쉬 제품 500ml 반광)를 총 5회정도 발라주었습니다.
사진 품질이 별로라서 티가 잘 안나네요.. 반광이라 그런지 예상대로 적절하게 광이 났고 가구 느낌도.... 나긴 합니다. 넵
좋은 사진기가 아니라 그런지 티가 잘 안나네요;_; 진짠데..
이 사진은 람보리기니는 굴뚝형도 됩니다라는 걸 어필하고 싶었으나.. 좀 어거진가요..^^; 되..됩니다. 조금 추가 수정하면..
숨막히는 뒷태..는 우리 미돌이 뒷태..
이제 본격적으로 케이스에 조립 시작...
15cm 24pin 연장선으로 만든 트리플파워 컨넥터가 보이네요. 메인이 연장선이되고 말이 많던 듀얼 파워 컨넥터는 신호만 받는
역할로 좌천되었네요. 바닥에 놓인 발포폼?이라고 하나요. 그걸 고려하지 않았던지라 실제 조립하면서 선이 꽉 끼는 느낌이네요.
멋진 자태의 290레퍼.. 소음도 그만큼 쩌..쩔어주십니다.
280 기준으로 만들어서 290이 장착되면서 치명적인 단점이 드러나더군요..
뒷면 배기구를 일부 막고 있네요;;
11월 초중반엔 라이저 케이블의 길이가 리본 케이블 방식으로 24cm인가가 최고였고 글카들을 최대로 넓게(5cm간격) 배치하기 위해 보드와의 간격을 가능한 낮게 제작했습니다. 큰 문제는 없었네요.^^
라이저 케이블을 통해 전력 공급하는 몰렉스 4핀( 현재는 글카 4장에서 3장에 보조 전원을 적용시키게 되었습니다. 아래 느리게살자님이 언급해주신 그 파워를 저도 사용했었습니다... ;_; 잠시 눈물 좀 닦겠습니다. 난 그거 두 갠데....
이유로 출력 중단 등등 파워 선 분배에 케이블 교체등 하루를 날렸는데 파워 문제였다는 게 확실해진 순간 좀 당황스러웠어요.. 왜냐면 이미 2way 시스템으로 테스트시 사용된 파워였기에 문제가 될리가 없다라고 판단하였고 제일 마지막에 설마하면서 점검해본 것이거든요.
좋은 파워 씁시다..^^)
오 이제 자세가 나오네요. 6way를 계획했지만 일단 4way에서 차차 추가하기로 했습니다.
이건 그겁니다. 그 케이스의 아래에 파워쪽 쿨러 두 개( 잘만 120mm 5천원짜리 )의 3pin 커넥터와 파워 4핀에서 바로 전력 공급을 받게
개조한 거에요.
해당 잘만 쿨러에 저항도 같이 포함되어 오는데 저항도 3핀으로 되어 있어서 손쉽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저항은 사용할 일이 없더군요. 쿨러가 조용해요.
글카들 쿨러 소음이 워낙 강력해서;; 그런지 너무너무 조용한 듯 느껴져요^^ 쿨러 전면에 120mm 6개가 추가로 돌고 있는데도 말이죠.
이 사진의 쿨러는 후면에 배기용인데 실제론 적용시키진 않았고 놀고 있습니다. 이 사진을 첨부한 이유는 저기 아래 종이에 글카의 스윗 스팟을 찾으면서 적은 게 보여서에요. 지나고 나니 아련한 노가다의 흔적이랄까요?
1089/1836 안정적... 760.3해쉬..
( 안정은 개뿔 ;_; 하루정도 돌리다 실패.. 다음 날 아쉽지만 조금 더 내려서... 실패.. 다음날 조금 더 내려서.. 하루 있다 실패 등등.. xfx280카드 스윗 스팟들 기록이 빼곡한데 갖고있던 두 개 다 팔아버렸습니다. 이때 살짝 멘탈이.. )
아침 햇살과 함께 쿨러 장착 작업을 했던 날에 찍은 거네요. 쿨러들은 나무 사이에 꼭 들어가서 흔들림 없이 고정됩니다.
섬세한 사포질이 필요합니다. 그냥 나무 좀 눌리면서 쑥 밀어넣어도 되긴 했어요.
자연과 함께..
아래 부분 쿨러는 위쪽에서 보신 무한 사포질이 있었던 윈드홀 부분만 나사가 체결되고 위쪽은 아래쪽보다 아주 약간 나무가 앞으로 나오게 해놔서 아래쪽에 나사를 꽉 조이면 위쪽도 꽉 잡히는 느낌으로 되어집니다.
힘차게 코인을 벌어주렴.. 나 이제 백수 아닌 거지... ;_;?
리그의 완성 람보리기니..( 그..그냥 제가 완성했다고요..^^ㅋ )
나머지 추가샷들..
1x to 1x 라이저 케이블이 앞트임하고 보조전원 개조해주고 등등 번거롭긴 했지만 장착후 정말 마음에 들었습니다. 깔끔~
작년 11월 중순부터 직접 나무들 모아 만들면서 그리고 여름을 생각한다며 추가로 쿨러 작업에 칠까지 했네요.
하..하라는 채굴을 안하고...;;하하 넵.
요즘 좋은 케이스들이 많이 나오더라고요...
이거 만들 땐 그런 거 없었는데.....
어머니 가게가 2층인데 건물주의 양해를 얻어 3층 올라가는 곳 문열고 들어가면 공간이 있는데 그곳에서 돌아가고 있습니다.
채굴 속도.. 괜찮죠?
1. 기가 280x
2. 아수스 280x
3. xfx 290( 1021/1500 클럭 스윗 스팟 엘피다<제기롤>램 )
4. xfx 290( 위와 같음 )
280 & 290 모두 둘 다 최적화 커널의 힘으로 +5해쉬정도 올라간 결과이며 280x 아수스 배치는 라이트 코인 게시판 보면 나와있고요.
290은 배치 필요하면 말씀해 주세요. 엘피다램에서 그나마 낼 수 있는 최선인 것 같아요.
클럭들은 애프터버너로 부팅시에 변경되게 해두었고요.( 이유로 배치에 클럭 지정이 없음 )
280x는 g2, 290들은 g1으로 돌리는지라 합치라면 290을 g2로 만들고 TC값 노가다 살짝해야 되는데...
대략 비슷한 값이 나오긴 하는데 고정은 또 안되더라고요. 그래서 그냥 나눠서 돌려요..
지금 보니까 쿨러 수명 생각해서 조금 줄여둬야 겠네요; 씨끄럽긴 해요; 하루 전날 집에서 풀로 돌리면서 공포를 느꼈습니다.
또 그 건조함이란.... ^^;;; 심각하더군요. 가습기도 망가져서 죽는 줄 알았습니다. 자다 깨고 반복.. 네넵
그럼 좋은 하루 되세요.
# 배치 추가
cgminer --scrypt -o ltc.give-me-coins.com:3333 -u cms332.1 -p qoo -g 1 -d 2,3 -I 13,13,20,20 -w 256,256,512,512 --thread-concurrency 8191,22399,32764,32764
기가, 아수스, 290, 290
위 배치에선 -d 2,3으로 g1설정하에 놓이게 되는 290 둘을 위한 배치이고요. 280들을 위한 배치에선 g2로 바꾸고 -d 0, 1 제한하였습니다.
위 배치에서 스윗 스팟( 저의 경운 1021/1500 )만 잡아주면 코어 클럭에 비례해서 해쉬레이트가 향상되게 됩니다.
hawaiiinfo.exe나 raminfo.exe등으로 변신 가능 유무&램 제조사명을 확인하시어 변신해서 돌리면 쉐이더가+되고 930대는 무난하게
올라가는 것 같습니다. 램까지 하이닉스라면 스윗 스팟 범위를 최대한 높고 넓게 적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반면 엘피다는 1500 위로( 1501만 되어도 ) 1650인가 1750클럭인가에서의 램 프로파일이 고정 적용된다고 하네요.^^
최적화 커널은 몇몇 외국 친구들이 만들어 두었던데요. 한 제작자의 말에 의하면 이미 커널은 충분히 최적화되어 있기에 개선할 곳이 별로 없었다라는 말도 하더군요. 그럼에도 +5~10정도의 해쉬 향상은 있는 것 같습니다.
저의 경우 280x의 경우는 psw라는 사람의 커널에서 향상이 있었으며 290은 zuikkis라는 사람이 최적화한 커널에서 향상이 있었습니다.
많은 변수가 있고 되려 해쉬가 떨어지는 케이스도 있습니다.
자신이 최선이라고 찾은 설정하에서 위 사람들 외에도 여러 커널 파일(scrypt130511.cl)들이 있던 거 같던데 한번씩 적용해 보시면서 추가 해쉬의 향상을 도모해보는 것이 적용 시점이자 방법인 것 같습니다.
윈7 64bit
카탈 13.12
amd sdk 2.5( 2.5로 적용된 것인지는 확실치 않음^^; )
cgminer 3.7.2
메인 디스플레이로 내장 그래픽 활용( 800 x 600 ) + 아수스에 정상 정보 출력용 더미 플러그인 1개 꼽아둠( 640 x 480해상도 256색 )
그럼 행운을 빕니다.
# 위에 빼먹은 내용( 인가 전압 관련< 실전압은 아님 > )
기가 기전
아수스 코어 전압 1.2v 메모리 전압 1.550v
xfx 290카드 1개 기전
xfx 290카드 1개 +19 코어 전압( 0.019v )더 줌.
파워툰( 리미트 )는 젠부 +20씩 풀어둠^^ <= 이것도 290은 나름 중요
대단하십니다!!!! 그리고 노고에...토닥토닥을...^^;;
저도 가지고싶네요!!!! (만들고 싶다는뜻은 아니구요^^;;)
수고하셨습니다. 이제 코인벌일만 남으셨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