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소코인 개발자가 VPN, TOR에 대해서 예민해서 디코에 함부로 올리지 못하겠네요.
압축파일내에 start_miner.bat 파일의 ADDRESS를 본인의 지갑주소로 바꾸어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PC의 랜카드 IP를 조회해서 변수로 넣을수 있도록 배치파일을 작성했어요.
별도로 수고스럽게 IP를 기입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consominer2 대비 1.5~1.8배 채산성이 증가합니다.
개발자 Fee 2%로 했어요.
2~4코어 유저는 기존 https://github.com/f04ever/noso-2m/releases 에서 다운 받아 사용하시는 것이 좋을듯 하고요
4코어이상 2개 공인IP 이상 가진신 분은 이 버전이 유용할 거에요.
전 consominer2 할때는 3개의 공인IP로 했는데 noso-2m 은 핫스팟 2개 포함 시키고 VPN 1개까지 해서 6개로 돌리고 있습니다. 이제 막 1일 지남 ㅎㅎ
그래서 풀당 최대치는 57 X 6 = 342개 까지 했는데도 가끔씩 이것도 오버해서 리젝 숫자를 증가 시키네요 1950X는 노소코인 채굴시 공인6개가 최대이네요
1950X 3.9GHz 16코어32스레드 기준 4개풀에서 10분당 획득 총 쉐어수
consominer2 초기버전 : 600~650
consominer2 중간버전(자료실 올리지 않음) : 650~700
consominer3 최종버전(랜카드 죽었을때 장애처리 없음, 자료실 올리지 않음) : 700~800
noso-2m 복수IP버전 : 1150~1250
<채산성>
블럭당 쉐어수 1000개 획득하면 하루에 약 90~120개 정도의 노소코인이 획득됩니다.
오프라인 거래가는 $0.04~$0.055 정도이고 1950X , noso-2m 기준 하루에 $5 정도 되겠네요.
<consominer2 중간버전>
consominer3 최종버전(랜카드 죽었을때 장애처리 없음 따라서 배포 안함)
<noso-2m 복수IP버전 4개 풀 동작중>
작성글이 수정이 안되서 작성하지 못했네요. 16코어 32스레드 일 경우 8~11 정도 설정하면 됩니다.
8코어 16스레드는 4~6 정도 설정하면 되겠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