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젝이란게 사실 작업을 잘못해서 오류가 난 것도 있지만 블럭이 바꼈는데 이전 블럭으로 계산한 것을 제출했을 때 많이 납니다.
맥스코인 같은 경우 30초 단위로 블럭이 바뀌기 때문에 블럭이 바꼈다는 것을 1초라고 통지를 늦게 받으면 워커는 1초 (1/30 = 3.3%) 동안 허무한 일을 하게 된 셈이죠. 그렇다고 리젝트를 완전히 없애는게 이론적으로 가능하냐고 하면 또 그건 아닙니다.
아무리 성능 좋은 자동차라도 10km 로 가던 자동차가 브레이크를 잡았더니 0초만에 멈출 수는 없으니까요. 블럭이 바뀔 때마다 네트워크 통지와 통지를 거쳐 전달되는게 0초만에 일어날 수는 없습니다.
워커에서 리젝트가 났다고 판명나는 기준은 워커들이 작업을 제출하는 풀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풀 자체에서 블럭 통지를 늦게 받으면 그 밑에 워커들은 열심히 일을 했다고는 표시되지만 사실상 단체로 허무한 일을 하게 되는거죠. 그래서 사실 리젝트 값 자체는 별 의미가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참고로 제가 마이닝풀을 운영하는데 이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했습니다. 블럭 통지를 빨리 받고 워커 분배 지연도 줄일려고 서버도 미국과 아시아 2곳에 있구요. 지갑 소스도 고쳐서 커스터마이징 했습니다. 한번 제 풀에서 캐보셔요. ( http://maxcoin.miningpoolhub.com )
아 그냥 질문에 답하다가 자꾸 풀 홍보하고 있네요. 어제 풀 오픈해서 기분 좋아서 그래요. 죄송합니다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