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1. 은행들, 가상화폐 거래소 가상계좌 제공 두고 여전히 눈치 경쟁
: 중소형 암호화폐 거래소들은 은행들에게 가상계좌를 제공해 달라고 요청하고 있지만, 은행들은 신중히 검토하겠다며 결정을 유보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지난달 31일 가상계좌 실명거래제가 시행된 이후 은행으로부터 가상계좌를 발급받은 거래소는 업비트와 빗썸, 코인원, 코빗 등 단 4곳에 불과합니다. 그 외 거래소는 은행 가상계좌가 제공되지 않아 서비스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입니다.
2. 국내서는 금지된 ICO, 블록체인 스타트업들 "허용하라"
: 국내에서 암호화폐공개(ICO)가 금지된 가운데, 이를 허용해야 한다는 스타트업들의 주장이 거세지고 있습니다. 블록체인 산업 활성화를 위해 ICO가 필수적이라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국내 스타트업 역시 ICO 기술 개발을 시작했습니다. 국내 ICO 플랫폼은 블록체인 전문가들이 프로젝트를 직접 검토하는 방식으로 안전성을 높였습니다. 하지만 이들 플랫폼은 주로 해외 개발사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습니다.
3. 예금보험공사, 가상화폐 열풍에 청소년 보호교육 나선다
: 예금보호공사가 암호화폐 열풍에 따른 청소년 피해예방에 나섰습니다. 예금보호공사 측은 "최근 암호화폐 열풍으로 초, 중, 고등학생들의 올바른 금융지식에 대한 중요성 한층 증가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에 따라 강사인력을 확충하고 교육서비스를 대폭 확대해 미래금융소비자에 대한 금융역량 강화 및 취약계층 금융격차 해소에 적극 나설 예정입니다.
: 암호화폐 거래소가 내실을 다지면서 추후 시장 활성화에 대비하기 위해 리모델링 작업 중입니다. 빗썸은 최근 1 금융권애서 사용하는 보안솔루션을 도입했으며, 업비트는 호가 주문 방식을 업그레이드했습니다. 이 밖에 다른 거래소들도 보안을 강화하고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고 있습니다.
: 금융감독원의 블록체인 자문위원단 구성과 활동이 다소 지체될 것으로 보입니다. 금감원은 지난 1월 초 암호화폐 거래와 관련해 '암호화폐 T/F' 구성해 운영할 예정이라고 발표했습니다. 하지만 한 달 가까이 시간이 흘러도 구체적인 활동 계획이나 자문위원단 구성 등에 대해서는 알려진 내용이 전혀 없는 상황입니다.
해외
1. Bitcoin Core Releases Software Upgrade With Full SegWit Support
: 비트코인 핵심 개발팀은 암호화폐 네트워크를 확장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설계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를 출시했습니다. 이번에 출시된 '비트코인 코어 0.16.0'은 지갑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세그윗을 완벽하게 지원합니다. 세그윗은 비트코인의 확장성 장애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서명 데이터와 트랜잭션 데이터를 분리하여 특정 블록에 더 많은 공간을 만드는 방식입니다.
2. Uzbekistan Will ‘Regulate’ Cryptocurrency After September 2018
: 우즈베키스탄은 오는 7월에 가동하는 블록체인 기술 센터 오픈에 맞춰 비트코인 규제 계획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Shavkat Mirziyoyev' 대통령은 비트코인과 암호화폐, 그리고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규제 계획을 간략히 설명하는 계획을 승인했습니다. 해당 규제는 우즈베키스탄 다수의 정부 부처와 중앙 은행, 그리고 여러 다른 기관의 도움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3. Goldman-backed startup Circle buys major crypto exchange Poloniex
: 핀테크 스타트업 '서클'이 미국 암호화폐 거래소 폴리닉스를 인수했습니다. 구체적인 거래 금액이 발표되지는 않았지만, 약 4억 달러(한화 약 44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서클 공동창업자인 '션 네빌'과 '제레미 알레어'는 "폴로닉스를 모든 종류의 암호화폐 거래가 가능한 플랫폼으로 만들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4. European Commission Roundtable: Blockchain ‘Holds Promise,’ Investors Must Know Risks
: 유럽연합이 '암호화폐 - 기회와 위험'이라는 주제로 진행한 회의에서 수개월 내에 암호화폐 거래와 블록체인 기반 자산에 대한 규제를 내놓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EU 집행위원회 부위원장은 "암호화폐 투자는 글로벌 현상"이라며 "유럽연합 차원에서 규제를 도입할 가능성을 배재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다만 블록체인 기술이 금융 산업을 끌어올릴 수 있는 기술이라는 것을 인정하고, 이를 방해하지 않는 선에서 규제가 도입되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5. Singapore Inks FinTech, Blockchain Pact with Indian State Government
: 싱가포르가 인도 정부와 핀테크 및 블록체인 협약을 체결했습니다. 두 나라는 블록체인과 디지털 및 모바일 결제, 그리고 빅데이터를 포함한 금융 기술 적용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공동으로 모색할 예정입니다. 또한 해당 부문의 발전을 장려하기 위해 규제 논의뿐만 아니라 핀테크 관련 트렌드애서 정보와 데이터를 교환할 계획입니다.
오늘의 기사는 여기까지!
블록체인 미디어 '비트데이즈(http://bitdays.co.kr)'였습니다.
-------------------------------------
꼬리말
* 게시글 내용 삭제시 레벨 강등
* 질문은 각 주제별 게시판에.
비트코인 암호화화폐 커뮤니티 땡글~ 땡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