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사람의 말을 이해하려고 할 때는, 전체의 문맥과 지금까지 그 사람이 어떤 생각과 행동을 해왔는지를 보고서 판단해야 제대로 이해할 수 있다는 이야기를 했었습니다. 설사 한문장에서 오해가 생길 수 있는 단어가 사용되었다고 하더라도, 전체의 문맥에서 보면 쉽게 화자가 의도한 바를 제대로 알아들을 수 있습니다.
포브지 기자가 얼마전 보도한 비탈릭의 인터뷰 기사에서 인용한 한 문장을 두고 마치 비탈릭이 커뮤니티가 다 사멸하기를 학수고대하는 것처럼, 또 그렇게 해석하는 것이 왜 잘못된 것인지 문맥을 설명했음에도, 일부의 사람들이 글자 그대로의 해석에 매달려서 마치 제가 아전인수격으로 해석한다는 주장도 있더군요.
그래서 도대체 비탈릭이 정말 어떤 발언을 했는지 정확히 확인해보기로 했습니다.
일단 해당 문장이 나오는 대목은 비탈릭이 PoS의 개발과 확장성 문제를 한참 이야기 하고 나서, 개발이 생각보다는 지연되고 있지만, 5년전에 생각했던 것보다는 훨씬 나은 솔루션이 개발되고 있다는 말을 한후, 문제의 문장을 이야기합니다.
포브스 기자가 인용했던 문장은 이렇습니다.
"I am seriously looking forward to when the cryptocurrency community basically passes away with proof-of-work."
이 문장 자체를 그대로 직역하면 전체 커뮤니티가 pow와 함께 사멸하기를 날을 학수고대한다는 것처럼 보입니다.
해당 비디오 영상을 여러명의 원어민에게 받아 적게 해보았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렇게 들었습니다.
"I am seriously looking forward to the cryptocurrency community basically casting(또는 passing) away proof of work."
이 문장은 암호화폐 커뮤니티가 기본적으로 pow를 버리거나(casting) 나 떠나보내기를 (passing away) 진지하게 바라고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문장에 "when" 도 없고 "with" 도 없다는 점입니다. 문장의 의미가 많이 달라집니다.
casting away 라고 하면 매우 분명한 뜻이 되고 passing away 라고 들었어도 뜻은 크게 달라지지 않습니다.
pass away 뒤에 with 가 있으면 거의 "die" 뜻이 확정되지만, with 가 없이 뒤에 목적어가 오면 전혀 다른 뜻이 됩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예문입니다.
"Shoot and pass away the ball"
죽는다는 뜻이 아니고 목적어(ball)를 away하게 pass 하라는 뜻이 되게 됩니다.
여러분도 두 문장을 읽고 나서 비탈릭이 발언한 문장이 어느 쪽인지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주위에 원어민자가 있으면 확인해 보십시요.
비탈릭이 저 말을 하고 나서 대담자는
라는 대꾸를 합니다. 커뮤니티 모두 죽기를 바란다는데, 거기서 우와 좋은 생각이야, 빨리 이루어지길 바래. 최소한의 상식이 있는 사람이라면 그러지는 않겠지요. 관중들은 박수로 호응을 합니다.
그리고 설사 포브지 기자가 잘못 인용을 했어도, 비탈릭의 지금까지의 행동을 보아온 사람이면 당연히 말하고자는 하는 진의를 쉽게 파악할 수 있었겠지요.
이더리움 개발자들이 pow 에 대해 극복할 대상임을 천명한 것은 이미 2014년부터 였습니다.
제가 비탈릭의 글에 처음 감명받았던 글이 바로 비트코인 채굴중앙화에 대한 비판에 대한 것이었습니다.
https://blog.ethereum.org/2014/06/19/mining/
저 역시도 이더리움을 땡글에 소개하고 채굴셋팅을 올리고, 롬 바이오스 업데이트 팁들을 올리고 하면서도 꾸준히 PoS 로 전환될 것이라는 점을 강조했고, 난이도 폭탄에 대해서도 여러차례 포스팅 했었습니다. 처음부터 pos로의 전환을 전제했고, 그것을 코드상에 분명히 하게 위해 난이도 폭탄을 넣었습니다. 이번 가을에 있을 하드포크에서도 이 난이도 폭탄 조정이 또 있을 예정입니다.
저나 대부분의 이더리움 지지자들이 PoW 의 역사적 의미와 성과에 대해 모두 부정하는 것은 아닙니다.
https://atomrigs.blogspot.com/2014/12/pow-hidden-features.html
PoW가 암호화폐 초기에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했는지에 대해 잘 인지하고 있습니다. 저 역시도 채굴로 암호화폐계에 진입을 했던 사람이구요. 하지만 PoW 가 가지는 여러가지 한계들에 대해서 이미 많은 사람들이 인지하고 있고, 새로운 pos 합의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 매우 열심히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이더리움 생태계에서 PoW의 중요도가 약화되어 가는 것은 예정된 로드맵이었습니다.
이더리움 개발자들이 어린 마음에 PoW를 팽하자는 것도 아닙니다.
마지막으로 포브지가 다루었던 해당 대담에는 기사에는 나오지 않는 좋은 내용들이 많이 있습니다.
번역이 아직 없어서 아쉽지만, 전체 내용을 한번 쭉 들어 보시면, 위의 한 문장이 어떤 의미였는지 담박에 알 수 있습니다.
그 장소에 있었던 대부분의 사람들도 그랬겠지요.
https://www.facebook.com/congress.jason/videos/2145559895655976/
지난번 소개한 영상보다 오디오 상태가 훨씬 좋습니다. 이 비디오에서 위의 문장 부분은 1:19:40 근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