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中 규제 칼날에…지난달 비트코인 거래량 반토막났다
- 6월 가상자산 거래량 40% 넘게 줄어
- 中, 자체 디지털 화폐 출시하며 단속↑
- 거래량 줄었어도 여전히 역대 5위권
지난달 가상자산 거래량이 40% 넘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당국이 대대적 단속에 나선 여파라는 분석이다. 다만 줄어든 거래량 역시 역대 최고치에 꼽히는 수준으로, 장기적으로 가상자산 시장이 회복할 것이란 전망도 만만치 않다.
12일(현지시간) CNBC는 가상자산 정보업체 크립토컴페어를 인용해 바이낸스와 코인베이스, 크라켄 등 가상자산 최대 거래소들의 거래량이 40% 이상 급감했다고 전했다.
거래량 감소 원인으로는 가상자산 가격 하락과 줄어든 변동성이 꼽혔다. 대표 가상자산인 비트코인 가격은 지난달 개당 2만8908달러까지 떨어졌다. 월말에는 6% 하락 마감했다. 거래 규모도 줄었다. 6월 하루 거래액으로 가장 많았던 지난달 22일 1382억달러는 5월 최고치보다 42.3% 줄어든 수준이다.
기사 모두 보기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8&aid=0004983072
2. 등록제? 인가제?' 가상화폐거래소 입법 작업 본격화
가상화폐 투자자 보호를 위해 거래소 등록제 또는 인가제를 도입하는 부문에서는 의견이 갈린다.
이용우(가상자산업법안)·양경숙(가상자산거래에 관한 법률안)·강민국(전자금융거래법 일부 개정안) 의원의 법안은 거래소 인가제를, 김병욱 의원(가상자산업 발전 및 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안) 법안은 거래소 등록제를 핵심으로 한다.
금융당국은 거래소 등록제 또는 인가제 가운데 어떤 선택을 할지를 두고 신중한 입장이다.
엄격한 인가제를 도입하면 시장이 위축될 수 있고 반대로 느슨한 기준을 적용하면 투기를 조장할 수 있다는 점이 고민 지점으로 보인다.
기사 모두 보기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1&aid=0012520551
3. 비트코인 폭락때 앱 먹통… 투자자 “큰 손실” 집단행동
- 세계최대 거래소 바이낸스 상대로 전세계 700여명 집단 소송 준비
- 지난 5월 1시간 정지 “팔수가 없어”… 회사 “무료 이용권” 안이한 대응 도마
5월 가상화폐 비트코인 폭락 당시 시스템을 정지시켜 고객들에게 큰 손실을 입혔던 세계 최대 가상화폐 거래소 바이낸스를 상대로 고객들이 “손실 금액을 돌려달라”며 집단행동에 나섰다
앞서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 가격이 급락했던 5월 19일 1시간가량 바이낸스 앱이 작동하지 않으면서 이 앱을 사용하는 가상화폐 투자자들은 큰 손실을 봤다. 일본 도쿄의 소프트웨어 회사에 근무하는 인도인 아난드 싱할 씨(24)는 13세부터 미국 유학을 꿈꾸며 모아온 5만 달러(약 5700만 원)를 이날 모두 잃었다. 원금 5만 달러는 물론이고 이전에 가상화폐 거래를 통해 이익을 본 2만4000달러(약 2800만 원)도 날아갔다. 비트코인 가격이 급락하자 빨리 매도하고 싶었지만 앱이 먹통이 돼 팔 수 없었다.
기사 모두 보기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20&aid=0003369727
4. ‘더러운 화폐’ 오명 쓴 비트코인…친환경 채굴 가능할까
- 북미를 중심으로 재생에너지를 사용한 비트코인 채굴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
- 비트코인 채굴은 인터넷만 있으면 어디서든 가능해 오히려 신재생 에너지 확산의 촉매제가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비트코인과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의 양립 가능성에 대한 토론이 뜨겁게 이어지고 있다. 지난 5월 테슬라의 창업자 일론 머스크는 “비트코인 채굴과 거래에 들어가는 화석연료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며 “비트코인을 이용한 테슬라 차량 구매를 중단한다”고 전격 선언했다. 중국 정부도 전력 과다 사용을 이유로 중국 내 비트코인 채굴을 금지하면서 비트코인 가격은 급락했다.
이후 일론 머스크가 “청정에너지 사용이 확인되면”이라는 단서를 달아 조건부 비트코인 결제 재개를 선언했지만 그 파장은 사그러들지 않고 있다.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던 비트코인이 ESG 논란에 발목을 잡힌 모양새다.
기사 모두 보기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5&aid=0004576422
5. 자꾸 한도만 줄어듭니다…마이너스 통장에 무슨 일이
- 주요 시중은행 ‘마통 감액제도’ 운용
- 은행 “대출 마진 최대화·실수요 위주 실행 위한 것”
- 금융당국 ‘대출 조이기’ 규제도 영향
금융당국의 가계 부채 관리 기조도 은행의 이 같은 조치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 사태와 주식·암호화폐(가상화폐) 빚투 열풍 등으로 대출 수요가 사상 최대 규모로 급증하자 당국이 대출 조이기에 나섰기 때문이다. 앞서 당국은 올해 가계대출 증가율을 5% 수준으로 관리하라는 지침을 은행에 전달했다. 이에 따라 불요불급한 대출을 줄이기 위해 은행이 사용률이 저조한 마이너스통장에 대한 감액에 나선 것이다.
기사 모두 보기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5&aid=0001456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