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이킹 관심 있으신분들이 계신걸로 생각되어 간단히 소개합니다.
2월초 출금기능 테스트넷인 저장을 런칭후 테스트 성공
2월말 기존 테스트넷 중 하나인 sepolia 업그레이드 성공.
3월14일 경 마지막 남은 테스트넷은 Goerli에서 상하이 업데이트 예정. ( epoch 162304이니 일주일 하고 15시간정도 남았네요)
Goerli 테스트넷 업그레이드 성공하면 4월2째주 경 메인넷 업그레이드 예정입니다.
상하이 업데이트에 들어간 출금기능은 간단히 설명하면.
1. 밸리데이터 유지에 필요한 32이더 이외의 적립된 밸런스는 스테이킹키에 지정한 출금주소로 자동 출금
( 스윕방식으로 슬롯당 16개씩 처리, 하루에 약 11.5만개 처리, 전송수수료 없이 자동출금 )
(현재 55만개의 밸리데이터가 있으니 약 5일간격으로 누적이더 출금 )
-물론 출금주소 지정안한 밸리데이터도 많은데. 모두 설정한다고 가정하면
현재 평균 밸런스가 34정도되니. 55만명 X 2 이더 하면 출금기능 구현후 첫 일주일동안 약 110만이더가 시장에 나옴,
재투자 될지. 매도로 나올지.. 미지수..
2. 밸리데이터 키 만들때 ETH1 출금주소 지정해야만 자동출금. 미지정 밸리데이터는 별도과정을 통해 출금주소 지정가능
3. 스테이킹 종료는 밸리데이터가 active되고 256 epoch(약 27시간)이 지나야 가능하고
일단 퇴장을 시작하면 최소 5 epoch이후 퇴장 대기열크기에 따라 최종 퇴장이 결정됩니다.
저장 테스트넷에서는 밸리데이터의 avtive나 exit이 1epoch(6.4분) 당 4명으로 되어있으나
가변윈도우라. 대기열 늘어나면 6명까지 가능. 최대 8?
스테이킹 노드는 하드웨어 준비에 걸리는 시간은
비컨체인(CL) 동기화에 5-7일, EL동기화에 5-7일 : 10-14일 소요.
비컨체인 체크포인트 기능 사용하면 EL만 5-7일 예상
디파짓 전송후 avtivation까지 대기시간
상하이 업데이트 성공을 예감한듯 밸리데이터가 많이 늘어나고 있는데 (대기자 4-5천명 )
1 epoch(6.4분)당 6명만 active되니 런치패드로 32이더 전송 후 기본 대기 18시간 이후 4-7일 대기 예상.
상하이 업데이트 이후 진입 준비대기 중이신분들은 슬슬 준비하셔야 할것 같습니다.
테스트넷 돌리던 노드들은 이제 슬슬 정리하고 저도 메인넷 준비중입니다.
필요하드웨어
cpu : 최소 4코어, 인텔9세대 i5 이상. 라이젠 3400g 이상.
램 : 32기가 이상 ( 램이 많으면 EL 노드 사이즈도 줄어들고 장점이 많습니다. )
ssd : 2TB 이상 ( 전 메인노드는 P31 NVME , 백업노드는 MX500으로 두대 만들었습니다. )
그나마 요즘 램이랑 SSD가 많이 싸졌네요. NVME가 동기화 속도 줄이는데 도움이 되긴하나 디램없거나 QLC 저가형은 절대 피하시구요.
진심 고려중이시면 차라리 QLC NVME 보다 지금 11번가 아마존에서 세일하는 SSD가 더 낫습니다. ( 쿠폰먹이면 2TB 13.2만원 )
http://www.11st.co.kr/products/3545495091
http://www.11st.co.kr/products/3545495091/share?gsreferrer=PSF1086
아래링크는 리퍼럴 버전. --;
그럼 참고하시고 성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