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무엇을 채굴할 것인가.
일단 대여받아 채굴할 경우 대부분의 적자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채굴하겠다면 해봅시다.
나의 경우 알레오를 채굴합니다.
대여받을 서버의 CPU와 GPU를 보고 선택합니다.
2. 서버를 선택한다.
Marketplace에서 쓸만한 서버를 선택합니다.
메뉴에 SPOT MARKET 과 RENT 가 있는데 일단 RENT로 하자. 초보 또는 항시 보니터링 하지 않을시에는 SPOT MARKET 하지 마세요.
저렴하거나 적당한 가격인데도 장기간 대여가 안된 것들은 다 이유가 있습니다.
이미 GPU를 사용하고 있는 서버, Power limit, lock clock, memory clock 를 과도하게 잡은 것
구동하고 10~20분후에 프로세스를 중지시키는 대여자등등
이 서버를 대여해 보겠습니다.
3. 임대를 합니다.
Docker image는 Cloreai/ubuntu20.04-jupyter 를 선택합니다. (기본일거에요)
Jupyter Password를 복사합니다.
그리고 Create를 클릭합니다.
4. 쥬피터를 실행합니다.
MyOrders 에 있는 임대한 서버들 있습니다.
여기서 빨간 글씨로 https://o-?????.clorecloud.ga 있는 것을 클릭하여 쥬피터를 실행합니다.
<% 실행하고 not found 될 수 있는데 ㅠㅠ 이건 dns 설정에 google dns를 추가해야 함>
실행한 쥬피터에 아까 복사한 패스워드를 붙여넣고 로그인 한다.
5. 쥬피터 화면에서 터미널을 실행한다.
우측의 New 를 클릭하면 하단에 터미널이 있습니다.
그것을 클릭하면 터미널이 실행 됩니다.
6. 채굴을 실행한다.
터미널에서 원하는 채굴 스크립트를 실행합니다.
저의 경우 에디터에 미리 저장해놓고 복사 붙여넣기를 합니다.
<예시 zkrush 스크립트>
wget https://github.com/zkrush/aleo-pool-client/releases/download/v1.2/aleo-pool-prover-ubuntu2004
chmod +x aleo-pool-prover-ubuntu2004
nohup ./aleo-pool-prover-ubuntu2004 --dest tcp://aleo.zkrush.com:3333 --account gosrak03 --machine-name rental01 &> prover.log &
tail -f prover.log
<예시 화면>
위의 쥬피터가 안 열릴 경우가 있어요. ( 아 이것은 우분투에서 쥬피터을 열때입니다. 윈도우에서 달라요)
이는 DNS 주소에 문제가 있는 경우인데...
이때는 그냥 구글 DNS 추가하시면 됩니다.
https://easyengine.io/tutorials/linux/google-public-dns/
크 적어놓고 보니 그동안 몇시간씩 삽질했던 것들을 다 이야기 했네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