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0.42% 상승 마감…2,660대 - 네이버 증권 (naver.com)
- 코스닥지수는 전날보다 11.32포인트(1.26%) 올라
▶ 전일 나스닥 반등함에 따라 국내 증시도 좋은 흐름 보여줬습니다. 미국 증시가 FOMC 금리 인상 폭에 따라 움직이는 상황입니다. 환율은 우상향추세로 1250까지 돌파해버렸습니다. 대내외 적인 환경은 안 좋지만, 그나마 시총 상위 기업들의 호실적 덕에 버티고 있습니다. 반도체, 2차전지, 철강, 자동차 등 전방 산업 모두 어닝서프라이즈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실적 생각하면 상방이 맞지만, 환율, 금리가 걸려있어 팽팽한 상황입니다.
[특징주] LG엔솔, 보호예수 해제 앞두고 ‘오버행’ 우려에 4%대 하락 - 조선비즈 (chosun.com)
- 27일 3개월 보호예수 해제돼
▶ LG엔솔 3락 물량이 27일 풀립니다. LG엔솔 원통형 배터리 잘나가고 미국서도 테슬라쪽에 납품 잘하고 있어 성장성은 인정합니다. 하지만 개인은 평생 홀딩이 되지만, 기관은 수익을 내야하기에 마냥 쭉 들고 갈 수는 없습니다. 상장당시 기관들이 대규모로 6개월 락 걸고, 그 다음이 3개월인데 이번 3개월 락해제되며 매물 쏟아져 나온단 우려에 하루 일찍 반응하고 있네요.
“없어서 못 산다” 반도체 공급난에 몸값 뛴 중고 장비 - 조선비즈 (chosun.com)
- 생산 현장 즉각 투입할 중고 장비 수요 늘어
- 중고 노광 장비 가격 5배 껑충, 재고도 없어
- 다품종 소량생산 유리한 8인치 장비 인기
- 숙련 공정 경쟁력 높이는 中 업체 장비 쓸어가
▶ 반도체 실리콘에 빛을 이용해 전기 회로를 새기는게 노광, 깎아내는게 식각입니다. 반도체는 산업 특성상 계속 수요는 올라가고 있는데, 노광장비와 식각장비가 노후화 되어 기존 장비들 몸값이 올라간단 소식입니다.
비료 가격 급등에 농기계 업체 디어도 '중립' 하향 (naver.com)
- BoA, 미국내 농기계 주문 감소 추세로
- 비료 투입 원료 최대 수출국 러-우크라 전쟁 여파
▶ 비료 가격 급등하며 농가들 시름이 깊습니다. 코로나 이후 미국에서 개별 농가가 많아지며, 농기계 수요도 올라갓지만, 최근 비료가격 급등으로 농기계 수요가 줄어들 수도 있다는 전망도 나오네요.
애플 뚫은 中 OLED, 아이폰14에 5000만대 탑재 전망 - 조선비즈 (chosun.com)
- BOE, 애플과 패널 공급 계약
- 일반 모델용 6.1인치 OLED 패널
- 신제품에 공급하는 건 이번이 처음
- 최대 5000만대, 전체 물량 25% 공급
- DDI 부족에 3000만대 이하 공급 전망도
▶ 중국 최대 디스플레이업체 BOE는 그동안 구형 아이폰에 리퍼용 OLED만 공급했었는데요. 아이폰 14부터는 신제품에도 들어가게 되었습니다. 다만, 인기많은 프로, 프로맥스 라인은 기존대로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가 담당하고, 일반형을 BOE가 공급하게 됩니다. 삼디, LGD는 점유율 하락에 당연히 안 좋구요. 그나마 희망적인 건 BOE가 디스플레이 구동칩(DDI) 수급에 어려움 겪고 있어 애플 요구치를 채우지 못할거란 전망도 나옵니다. 이에 애플도 수익성 떨어지는 일반모델보다 고수익 프로, 프로맥스라인 비중을 높이겠죠? BOE, LG디스플레이에 DDI를 납품하는 LX세미콘에 DDI를 LG디스플레이에 우선 공급하라고 요구했다니 다행이비낟.
中 빗장 푼 펄어비스, '검은사막 모바일' 출시 첫날 인기 1위로 < 인베스트먼트 < Crypto < TECH B < 기사본문 - 테크M (techm.kr)
- '검은사막 모바일'의 공개 테스트(OBT) 26일 시작
▶ 판호발급받은 펄어비스 검은사막 모바일이 중국 출시했습니다. 첫 날 인기 1위를 바로 찍었는데요. 펄어비스가 침체된 게임산업에 중국 판호 모멘텀을 살려줄 지 주목되네요.
삼겹살 8.2%↑…뛰는 계란 위에 나는 고기 (naver.com)
- 우크라 장기화 축산물도 직격탄
- 곡물→사료→고기 연속 충격파
- 육계도 작년 대비 14.3% 껑충
▶ 곡물가격 뛰니, 사료값오르고, 사료 오르니 당연히 고기값 오르겠죠. 더 비관적인건 사료값오르니 축가에선 사육두수 줄일텐데, 그럼 공급 줄게되니, 더 비싸질 수 밖에 없습니다.
"삼성 말고 선수가 없다"…JY 부재 속 韓 올해 파운드리 점유율 후퇴 (naver.com)
- 경제계, 이재용 삼성 부회장 사면복권 청원서 제출
▶ 삼성 메모리쪽 D램, 낸등은 반등세가 보이는데 이젠 파운드리가 문제입니다. 1위 TSMC와의 격차는 벌어지는데, 3위 인텔의 공격적 투자로 3위와의 격차는 좁혀지고 있죠. 이에 이재용 부회장의 사면 요구가 많아지고 있는데, 일각에선 8일 석가탄신일 사면 검토중이라는데, 사면되면 확실히 쌓아둔 돈 공격적으로 투자할 가능성이 커지겠죠. M&A도 지속적으로 얘기나오고 있구요.
자가격리 풀리자 ‘여행 수요’ 터졌다...“유럽 패키지 완판행진” (naver.com)
- 자가격리 의무 면제되자 해외여행 수요 폭발
- TV홈쇼핑 해외여행 패키지 상품 완판행렬
- 인기 여행지역으로는 유럽이 압도적으로 꼽혀
▶ 이왕 갈 꺼 다들 멀리가고 있습니다. 보복 여행 수요에 대해선 의심없는데, 일본, 중국, 동남아 보다 돈 더 주고 유럽, 미국쪽 장거리 여행으로 가는거죠. 저가항공사보다 대형항공사가, 장거리 투어 비중 높은 여행사가 수혜를 입을 수 있겠죠.
‘리오프닝’ 기대감에 백화점·아웃렛 매출 살아났다 (naver.com)
- 백화점 주말 매출 2주 연속 20% 이상 증가
- 나들이객 증가에 교외 아웃렛 매출도 최대 40% 뛰어
▶ 밖으로 나가니 화장품, 백화점, 의류 등 소비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코로나 2년동안 쌓아둔 돈 보복소비 하는 중이구요. 면세점과 연계해 백화점 업계가 안 좋았는데, 점점 회복이 가시화되고 있네요. 방향은 맞게 흘러가고 있습니다.
尹정부, 미디어혁신위원회 설치…"한국판 넷플릭스 키운다" - 머니투데이 (mt.co.kr)
- "과감한 규제 혁파…토종 OTT 키울 것"
▶ 윤정부에서 OTT에 관심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정부주도의 OTT는 아니지만, 대기업이 진출하는데 어려운 환경을 없애겠다는 건데요. 결국 OTT투자는 제작사 쪽으로 투자금이 몰릴 수 있겠죠. 넷플릭스 하향세에 다소 우려섞인 시선도 있지만, 아시아 쪽 환경도 괜찮고, 정부의 의지도 보이고 괜찮은 환경이 돼가고 있습니다.
거리두기 끝나니 "2배 늘었다"...'마이스' 계절 돌아오나 (naver.com)
- 일상회복 여파, 회의·행사 등 '마이스' 예정대로 진행
- 호텔가, 매출 규모 220% 늘기도...예약·문의 지속 증가
- 무사증 재개 등 기대 "외국인 단체관광 시장 등 확대 전망"
▶ 호텔이나 리조트에서 컨벤션, 회의 등 담당하는 게 MICE인데요. 코로나 이후 단체 모임 금지되며 아예 끊겼습니다. 호텔이나 리조트, 리조트 함께 운영하는 카지노 등 안 좋을 수밖에 없었겠죠. 거리두기풀리며 MICE 가 예전처럼 회복되면 호텔, 리조트 좋아짐은 당연하고, 호텔 내 F&B 부문도 덩달아 좋아지겠네요.
내달부터 레미콘값도 오른다…건설-레미콘사, 13.1% 인상 합의 (naver.com)
- 시멘트·철근 등 건설 자재 가격 줄줄이 인상
▶ 유연탄 → 시멘트 → 레미콘 순으로 전가시키고 있습니다. 다음은 건설사 차례네요. 분양가 올린단 뉴스도 머지않아 들릴 것 같습니다.
[특징주]현대차·기아, 호실적에 주가도 화답…5%대 ↑ - 네이버 증권 (naver.com)
- 1분기 어닝서프라이즈
▶ 현대차그룹이 어닝서프라이즈를 냈습니다. 원재료 값 이상에 러시아 전쟁, 반도체 수급으로 인한 생산 차질 등 온갖 악조건 속에서도 고실적을 거뒀습니다. 제네시스, 쏘렌토 등 고가, SUV 라인 쪽에 비중 늘리며 영업이익률이 올라갔구요, 환율 상승분도 이익에 기여했습니다. Q가 고정인데 P가 미친 듯 올린 상황인데... 이제 반도체 수급만 안정화되며 Q가 올라간다면 지긋지긋한 자동차 박스권도 뚫을 수 있게되겠죠. 문제는 점점 미뤄지고 있다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