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가상화폐 2조원 털어간 北 "트럼프 취임 이후 더 기승부릴 듯"
미국 대선에서 친(親) 가상화폐 기조를 천명한 도널드 트럼프가 당선된 이후 비트코인 가격이 10만달러를 오르내리는 등 가상화폐의 가치가 급등하면서 이를 노리는 해커들의 공격도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북한은 점점 더 큰 규모의 가상화폐 해킹 공격을 더 자주 감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조사 결과, 북한이 올해 가상화폐 해킹 등으로 빼돌린 금액이 2조원에 육박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 및 보안 기업 체이널리시스는 지난 12월19일(현지시간) 공개한 보고서에서 북한과 연계된 해커들이 올해 47건의 가상화폐 절취를 통해 역대 최대 규모인 13억4천만 달러 상당을 가로챘다고 밝혔다. 한화로 약 1조9000억원에 달하는 금액이다.
체이널리시스는 전 세계 가상화폐 플랫폼들의 절취 피해액의 60.9%가 북한 해커들에 의해 발생한 것이라고도 말했다. 이 업체는 "북한 연계 해커들은 정교하고 집요한 수법으로 악명을 떨치고 있다"며 "미국과 국제사회 관리들은 북한이 훔친 암호화폐로 대량살상무기와 탄도미사일 프로그램 자금을 조달해 국제 안보를 위협하다고 평가한다"고 지적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 이후 가상화폐의 가치가 연일 상승하는 국면에서 북한 해커들의 활동이 더욱 기승을 부릴 것이란 전망도 나왔다. 사이버 보안업계 관계자는 "비트코인 1개를 탈취했을 때 해커가 얻는 경제적 이득이 이전보다 50%가량 뛰었다"며 "트럼프의 취임 이후 가상화폐의 가치가 오르면 이를 노린 해킹 시도도 잦아지고 추적을 피하는 '난독화' 기술도 고도화할 것"이라는 예상을 내놨다.
이런 가운데 한국과 미국이 손을 잡고 가상화폐을 노린 북한의 사이버 공격을 막고 탈취된 자산의 흐름을 추적하는 기술을 공동 연구 중이다. 22일 사이버 보안 업계와 당국에 따르면 한국 정부가 최근 미국 국토안보부(DHS)와 맺은 사이버 보안 기술 공동 연구를 위한 기술 부속서(Technical Annex·TA)를 바탕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이 2026년까지 연구개발을 지원하기로 했다. 연구기관은 고려대와 미국 국토안보부 산하 소프트웨어 보안 평가기관인 MITRE, 랜드 연구소가 맡았다.
미국은 우리나라 외에 여러 나라들과 사이버 보안 관련 기술 개발에 협력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특히 디지털 자산 추적 기술을 우리와 함께하기로 한 이유는 가상자산 탈취 범죄에서 북한의 역할이 크기 때문이라는 후문이다.
한편, 한미 연구진은 한국, 미국 등 정부가 추진 중인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도입에 앞서 CBDC 거래 흐름을 감시하고 CBDC를 쓴 범죄 행위를 추적한 뒤 자금을 압수하는 기술 개발에도 착수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3/0000047452?sid=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