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플, RLUSD 출시 기대감 속 시총 3위 탈환..."XRP, 강력한 돌파 시 가격 두 배 상승 가능"
리플(XRP)의 가격이 주요 저항선인 2.60달러를 돌파할 경우 두 배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문가가 전망했다.
17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매체 유투데이에 따르면, 유명 암호화폐 트레이더인 돈알트(DonAlt)는 XRP의 거래 범위를 2.20달러에서 2.60달러로 설정하며, 이 저항선을 돌파할 경우 강력한 상승세가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XRP는 12월 초부터 이 범위에서 움직이고 있으며, 현재 2.47달러에서 거래 중이다.
XRP는 최근 상승세를 타며 테더(USDT)를 제치고 시가총액 3위 자리를 탈환했다. 여기에 더해 리플이 새롭게 출시하는 RLUSD 스테이블코인이 주요 거래소에 상장될 예정이어서 시장의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암호화폐 대장주 비트코인(BTC)이 사상 최고가를 경신하며 시장 전체에 긍정적 흐름이 확산되었고, XRP도 이 흐름에 동참하며 강세를 이어가고 있다. XRP는 지난 11월 큰 폭으로 상승한 이후 여전히 상승 여력을 남겨두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현재 XRP의 가격은 7년 전 기록한 역대 최고가(ATH) 대비 27.3% 낮은 수준이다. 전문가들은 XRP의 모멘텀이 이어질 경우, ATH 재돌파와 함께 추가 상승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전문가들은 특히 XRP ETF 출시 가능성이 새로운 강력한 상승 촉매제가 될 수 있다고 전망하며, 투자자들이 XRP의 저항선 돌파 여부에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https://m.coinreaders.com/136938
韓 코인 거래소 신규 상장 러시...업비트 'VANA' 빗썸 'GOAT' 이어 코인원 'OM' 17일 상장
12월 17일 오전 10시 15분 업비트에서 거래를 시작한 바나 가격이 초 단위로 변하고 있다. /사진=업비트
국내 주요 가상자산거래소의 신규 상장 러시가 계속되는 가운데 업비트와 빗썸, 코인원이 각기 다른 가상자산을 준비해 눈길을 끈다.
17일 가상자산업계에 따르면 가상자산거래소 업비트와 빗썸, 코인원이 이날 각기 다른 종목을 신규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업비트가 거래지원을 시작하는 종목은 바나(VANA)다. 바나 네트워크를 통한 입출금을 지원하는 바나는 이날 오전 10시 15분 거래를 시작했다. 당초 예정된 시간인 10시 정각에서 15분 개시 시점이 지연됐다. 거래 개시 10분이 지난 10시 25분 가격은 3만9000원 안팎을 오르내리고 있다.
바나는 사용자 소유 데이터를 위한 분산 네트워크다. 사용자가 인공지능(AI) 학습에 활용될 수 있는 데이터를 데이터 다오(Data DAO)에 업로드 하고 보상을 지급받을 수 있다. 데이터 다오는 AI 개발사 등에서 데이터 사용 요청이 들어오면 데이터 제공자들의 합의 후 데이터를 판매해 수익을 얻을 수 있다. 또 가상자산 바나는 가스비, 데이터 구매, 스테이킹, 거버넌스 및 위임 등 용도로 사용된다.
코인마켓캡 '고트세우스 막시무스(GOAT)' 차트 /사진=코인마켓캡
빗썸이 거래지원하는 종목은 고트세우스 막시무스(GOAT)다. 지원 네트워크는 솔라나이며, 거래 개시 시점은 오후 1시다.
고트세우스 막시무스는 터미널 오브 트루스라는 반자율 AI 에이전트가 고안한 밈 코인 프로젝트다. 이 프로젝트는 고트(GOAT)라는 티커를 사용한다. 염소와 그리스 신화적 요소를 결합한 단어 유희다. 고트세우스 막시무스는 단순한 밈 코인을 넘어 AI의 자율적 의사결정 능력을 보여주는 혁신적인 시도로 사용자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토큰 구매 자격을 얻는 메커니즘을 제안하고 있다.
코인마켓캡 '만트라(OM)' 차트 /사진=코인마켓캡
코인원은 만트라(OM)를 이날 오후 5시 원화마켓에 추가한다. 만트라 메인넷을 통한 입출금을 지원하며 기준가는 5560원이다. 입금과 매도 오픈 시간은 각각 오후 1시, 5시다.
만트라는 실물 자산(RWA) 토큰화 솔루션을 제공하는 만트라 생태계 내의 유틸리티 토큰이다.만트라 보유자들은 만트라를 검증자에 위임 스테이킹해 네트워크 보안에 참여, 보상을 분배받을 수 있다. 만트라 네트워크 상에서 발생하는 트랜잭션 수수료도 지불할 수 있다. 만트라는 이외에도 거버넌스 참여 수단으로 활용된다. 향후 가드 모듈 접근 수단으로도 사용될 예정이다.
https://www.techm.kr/news/articleView.html?idxno=1336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