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은행망 차단된 하마스, 가상화폐로 자금조달 정황"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가 이스라엘 기습 공격 자금조달을 위해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를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SJ은 이스라엘 정부의 압수물 및 가상화폐 분석업체 보고서를 토대로 하마스를 비롯해 팔레스타인이슬라믹지하드(PIJ), 헤즈볼라 등 무장정파가 최근 1년 새 가상화폐 계좌를 통해 거액의 자금을 모금했다고 분석했다.
가상화폐 추적업체 엘립틱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21년 8월부터 올해 6월까지 이스라엘 당국이 PIJ와 연계됐다고 지목한 가상화폐 계좌에 총 9천300만달러(1천250억원) 어치 가상화폐가 입금된 것으로 파악됐다.
또한 이스라엘 텔아비브에 본사를 둔 가상화폐 분석업체 비트오케이(BitOK)는 하마스가 PIJ 사례와 비슷한 기간 가상화폐 계좌로 4천100만달러(550억원) 어치 이상의 가상화폐를 받았다고 추산했다.
미 재무부도 지난해 보고서에서 알카에다나 이슬람국가(IS) 등 테러단체들이 가상화폐로 기부금을 모금한 사실을 언급하며 가상화폐 거래소의 통제 허점이 테러단체들의 모금 행위를 허용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하마스와 PIJ, 헤즈볼라 역시 미국 정부에 의해 테러단체로 지정돼 국제 은행망을 통해 자금을 주고받을 수 없다 보니 중개자 없이 자금을 주고받을 수 있는 가상화폐를 모금이나 자금 이전 수단으로 활용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하마스가 가상화폐로 받은 자금이 이번 이스라엘 기습 공격에 활용됐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WSJ은 전했다.
엘립틱의 매튜 프라이스는 "가상화폐를 이용하는 게 현금을 들고 몰래 이집트 국경을 넘는 것보다 쉽다"라고 말했다.
가상화폐로 자금을 주고받았다고 해서 자금흐름 추적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비트코인과 같은 가상화폐는 오히려 모든 거래 내역이 블록체인에 투명하게 공개되다 보니 수사당국에 자금을 쉽게 추적당할 수 있다.
하마스의 군사조직인 알카삼 여단은 적어도 2019년 텔레그램 채널에서 비트코인 기부금 모금을 시작했는데, 이스라엘과 미국 수사당국이 거래 내역을 추적하자 '기부자의 안전'을 이유로 지난 4월 비트코인을 통한 모금을 중단했다고 WSJ은 전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253528?sid=104
비트코인, 시장 점유율 51% 돌파…이더리움은 부진
비트코인이 올 7월 이후 가상자산(암호화폐) 시장 점유율 51%를 한때 돌파하며 알트코인이 부진하는 모양새다. 특히 이더리움은 저조한 블록체인 활동 및 지난 주 출시된 이더리움 선물 상장지수펀드(ETF) 부진으로 15개월만에 최저가를 기록했다.
11일 비트코인은 오전 8시 19분 코인마켓캡 기준 전일보다 0.52% 하락한 3685만원을 기록하고 있다. 같은 시각 업비트에서는 전일 대비 0.36% 하락한 3746만원에 거래되고 있다. 업비트-바이낸스 간 비트코인 김치 프리미엄은 1.32%다. 국내 비트코인 가격이 해외보다 약간 더 비싸다.
시가총액 2위 이더리움은 오전 8시 20분 코인마켓캡 기준 전일보다 0.58% 하락한 210만원을, 같은 시각 3위 테더는 전일 대비 0.01% 오른 1342원을 기록하고 있다. 그 외 가상자산 시총 상위 10개 종목 중 5위 리플, 8위 카르다노(에이다), 10위 트론을 제외한 4위 바이낸스코인, 6위 USD코인, 7위 솔라나, 9위 도지코인 등이 소폭 상승하고 있다. 시총 상위 10개 종목 중 5개 종목이 오르고 있다.
전체 가상자산 시가총액은 전일보다 0.5% 감소한 1431조원이다. 비트코인 시장 점유율은 전일보다 0.06% 감소한 50.25%, 이더리움 시장 점유율은 17.7%다. 상위 2개 가상자산 시장 점유율은 67.95%다.
비트코인은 중동 지정학적 리스크에서도 미 국채금리 하락으로 인해 2만7000달러를 상회했다. 미 국채 가격이 상승하면서 국채 금리는 하락세를 보였다. 연방준비제도(연준) 위원들의 금리인상 필요성에 대한 신중한 발언이 이어지고 있는 점도 국채금리 하락을 부추기는 모습이다.
10년물 국채금리는 마감 시점 전장대비 14bp 하락한 4.66%를, 2년물 국채금리는 10bp 떨어진 4.97%를 기록했다. 2년물 금리가 5% 아래로 떨어진 것은 지난달 중순 이후 처음이다.
10일(현지시간) 라파엘 보스틱 애틀란타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미국 은행연합회(ABA) 연례행사에 참석해 인플레이션을 2% 목표치로 되돌리기 위해 "우리가 더 이상 금리를 인상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라고 언급했다. 앞서 지난 9일(현지시간) 로리 로건 댈러스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댈러스에서 열린 행사에서 "기간 프리미엄으로 인해 장기 금리가 높은 수준을 유지한다면, 연방기금금리를 높여야 할 필요성이 떨어진다"고 말했다.
가상자산 시장에서는 비트코인의 지배력이 계속 커지고 있다.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조엘 크루거 LMAX 그룹 시장 전략가는 "최근 국제 정세 혼란에도 비트코인은 지난 30일 동안 미국 달러 대비 최고의 성과를 내는 자산으로 자리매김했다"고 말했다.
반면 K33 리서치는 보고서를 통해 "파생상품 시장 거래자들이 이더리움이 부진한 성과를 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http://www.digital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490174